매일신문

이탈리아 세계 최고 코로나19 치사율 미스터리

높은 고령자 비중·공공 의료시스템 미비·통계적 착시 등 거론

프란치스코 교황(맨 왼쪽)이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종식 및 감염자 쾌유를 위해 기도하려고 이탈리아 로마 시내의 산타 마르첼로 알 코로소 성당으로 걸어가고 있다. 성당에는 1522년 페스트가 로마에 창궐했을 당시 신도들이 기도를 올린 십자가가 보관돼 있다.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맨 왼쪽)이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종식 및 감염자 쾌유를 위해 기도하려고 이탈리아 로마 시내의 산타 마르첼로 알 코로소 성당으로 걸어가고 있다. 성당에는 1522년 페스트가 로마에 창궐했을 당시 신도들이 기도를 올린 십자가가 보관돼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로 텅 빈 독일 쾰른의 쾰른 대성당에서 15일(현지시간) 한 신도가 기도를 올리고 있다. 대성당은 코로나19로 모든 예배를 취소하고 방문객들의 입장을 제한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로 텅 빈 독일 쾰른의 쾰른 대성당에서 15일(현지시간) 한 신도가 기도를 올리고 있다. 대성당은 코로나19로 모든 예배를 취소하고 방문객들의 입장을 제한했다.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텅 빈 스페인 바르셀로나 거리. 스페인 정부가 전날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2주간 국가 비상상태를 선포함에 따라 스페인 전역에서 이동이 엄격히 제한되고 식당 등 상점들이 문을 닫았다.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텅 빈 스페인 바르셀로나 거리. 스페인 정부가 전날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2주간 국가 비상상태를 선포함에 따라 스페인 전역에서 이동이 엄격히 제한되고 식당 등 상점들이 문을 닫았다. 연합뉴스

폴란드가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독일과의 국경을 통제한 가운데 15일(현지시간) 독일과 접한 폴란드 국경도시 레크니카의 도로에 설치된 차단기 뒤편에 경찰차가 주차해 있다. 연합뉴스
폴란드가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독일과의 국경을 통제한 가운데 15일(현지시간) 독일과 접한 폴란드 국경도시 레크니카의 도로에 설치된 차단기 뒤편에 경찰차가 주차해 있다. 연합뉴스

중국 다음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피해가 큰 이탈리아에서 사망자 수가 다른 국가들보다 많아 그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15일(현지시간) 기준으로 이탈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2만4천747명, 누적 사망자는 1천809명으로 지난달 21일 첫 지역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래 하루 평균 78명이 숨졌다. 최근들어선 하루 200명 안팎이 숨졌으며 15일엔 신규 사망자 규모가 처음으로 300명을 훌쩍 넘겨 368명에 이르렀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이 7% 안팎에 달해 한국(0.9%)의 7배, 세계보건기구(WHO) 평균(3.4%)과 중국(3.9%)의 2배 수준이다. 이탈리아가 주요 7개국(G7) 멤버이자 세계 8대 경제 대국이며 의료시스템의 양적·질적 수준도 나쁘지 않아 치사율이 높은 원인에 대해 궁금증이 커질 수밖에 없다.

첫 번째로 거론되는 이유는 이탈리아의 고령자 인구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작년 기준 이탈리아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3%로 세계에서 일본(28.4%)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실제 이탈리아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는 80대(80∼89세)가 45%로 가장 비중이 높고 70대(70∼79세) 32%, 90세 이상 사망자도 14%로 기저질환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은 7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의 91%에 달한다.

특정 지역 중심의 확산 양상이 의료시스템 압박을 가중시켰다는 점도 치사율이 높은 이유로 지적된다. 이탈리아는 발병 초기부터 북부 롬바르디아주 등을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졌으며 롬바르디아와 베네토, 에밀리아-로마냐 등 북부 3개 주의 누적 확진자와 누적 사망자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자연스럽게 이 지역의 의료시스템은 큰 압박에 처해 시간이 갈수록 병실은 물론 의료진과 의료 장비 부족이 심화했다.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고 자택에서 입원 대기하다 숨지는 사례도 나왔다. 대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의료시스템이 빈약한 수천·수만 명의 인구를 가진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도 이러한 위기를 증폭시켰다.

이탈리아 전체 감염 규모가 확실치 않아 통계적 착시를 일으켰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탈리아는 위험 지역 사람과 접촉한 경험이 있고 확실한 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있다. 14일 기준 누적 검사자 수는 10만9천170명으로 하루 평균 4천700명 수준을 검사, 다른 나라들에 비해선 검사 규모가 큰 편이지만 제한된 검사 정책으로 감염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이탈리아가 한국처럼 전방위적인 검사를 할 경우 누적 확진자 수가 크게 불어 치명률이 자연스럽게 WHO가 추산한 세계 평균(3.4%)에 근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