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다음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피해가 큰 이탈리아에서 사망자 수가 다른 국가들보다 많아 그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15일(현지시간) 기준으로 이탈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2만4천747명, 누적 사망자는 1천809명으로 지난달 21일 첫 지역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래 하루 평균 78명이 숨졌다. 최근들어선 하루 200명 안팎이 숨졌으며 15일엔 신규 사망자 규모가 처음으로 300명을 훌쩍 넘겨 368명에 이르렀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이 7% 안팎에 달해 한국(0.9%)의 7배, 세계보건기구(WHO) 평균(3.4%)과 중국(3.9%)의 2배 수준이다. 이탈리아가 주요 7개국(G7) 멤버이자 세계 8대 경제 대국이며 의료시스템의 양적·질적 수준도 나쁘지 않아 치사율이 높은 원인에 대해 궁금증이 커질 수밖에 없다.
첫 번째로 거론되는 이유는 이탈리아의 고령자 인구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작년 기준 이탈리아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3%로 세계에서 일본(28.4%)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실제 이탈리아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는 80대(80∼89세)가 45%로 가장 비중이 높고 70대(70∼79세) 32%, 90세 이상 사망자도 14%로 기저질환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은 7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의 91%에 달한다.
특정 지역 중심의 확산 양상이 의료시스템 압박을 가중시켰다는 점도 치사율이 높은 이유로 지적된다. 이탈리아는 발병 초기부터 북부 롬바르디아주 등을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졌으며 롬바르디아와 베네토, 에밀리아-로마냐 등 북부 3개 주의 누적 확진자와 누적 사망자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자연스럽게 이 지역의 의료시스템은 큰 압박에 처해 시간이 갈수록 병실은 물론 의료진과 의료 장비 부족이 심화했다. 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고 자택에서 입원 대기하다 숨지는 사례도 나왔다. 대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의료시스템이 빈약한 수천·수만 명의 인구를 가진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도 이러한 위기를 증폭시켰다.
이탈리아 전체 감염 규모가 확실치 않아 통계적 착시를 일으켰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탈리아는 위험 지역 사람과 접촉한 경험이 있고 확실한 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있다. 14일 기준 누적 검사자 수는 10만9천170명으로 하루 평균 4천700명 수준을 검사, 다른 나라들에 비해선 검사 규모가 큰 편이지만 제한된 검사 정책으로 감염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이탈리아가 한국처럼 전방위적인 검사를 할 경우 누적 확진자 수가 크게 불어 치명률이 자연스럽게 WHO가 추산한 세계 평균(3.4%)에 근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