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발(發) 집단감염 확산에 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도 뒷북 조사로 감염 확산을 차단할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대구시에 따르면 달성군 다사읍 대실요양병원과 같은 건물을 쓰는 제이미주병원에서 62명(간병인 1명, 환자 61명)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다. 확진자가 발생한 9층 병동은 코호트(동일 집단) 격리 중이며, 제이미주병원 관계자 중 일부에 대한 진단검사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제이미주병원(8∼11층)은 종사자 72명, 환자 286명 규모의 정신과 치료 전문병원으로, 병동 특성상 바이러스 전파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같은 건물을 사용하는 대실요양병원(3~7층)에서 지난 18~20일까지 3일간 모두 57명이 한꺼번에 양성 판정을 받는 등 이날 현재 90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상태다.
두 병원은 엘리베이터도 같이 사용한다. 대실요양병원 사태 이후 건물 전체를 방역하고 엘리베이터 사용을 일부 제한한 이후에도 집단감염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방역 당국은 제이미주병원 종사자에 대해서만 진단검사를 하고, 이곳 환자들은 모니터링만 해 뒷북 역학조사 지적을 받고 있다.
이날 대구시 역학조사 발표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지난 25일 유증상 환자 3명(이 가운데 1명 확진)을 발견한 후에야 환자들에 대한 전수 진단검사에 들어갔다.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은 "지난 21일 종사자 72명에 대한 전수조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이후 혹시 환자 중 유증상자가 있는지 계속 모니터링을 하고 있었고, 25일 3명의 유증상자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가운데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종사자 및 환자 전원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방역 당국이 왜 종사자에 대해서만 전수 검사를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환자들에 대한 전수 진단검사를 동시에 진행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25일 유증상 환자 발견 이전에 이미 감염 확산이 진행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