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미래통합당 소속 기초·광역의원들이 국회의원 공천자와 탈당한 현역 의원 사이에서 '정치적 도의'와 '당인의 의무'를 두고 갈팡질팡 중이다. 지역의 정치 지형 특성상 통합당 공천자가 4·15 총선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크고, 당선 후에는 다음 지방선거 공천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공산이 커 지방의원들로서는 '줄 서기'에 나설 수밖에 없는 신세인 것.
특히 대구 12개 선거구 가운데 현역 의원이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한 북갑, 달서갑과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무소속으로 도전하는 수성을 등 3곳에서 지방의원들의 고민이 깊다.
지난 25일 송영헌 대구시의원과 안영란·김기열 달서구의회 의원 등이 통합당 대구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곽대훈 의원(대구 달서갑)의 무소속 출마에 뜻을 같이하고자 탈당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24일에는 박갑상 대구시의원, 이정열 북구의회 의장, 송창주 북구의원이 탈당계를 제출하고 무소속 정태옥 의원(대구 북갑) 지지 선언을 했다.
수성을 쪽 통합당 지방의원들은 2년 전 공천권자였던 현역 주호영 의원이 옆 선거구인 수성갑으로 옮겨가면서 셈법이 더욱 복잡하다.
이번에 당의 공천장을 받은 이인선 후보에게 정치적 빚은 없지만 지원 요청에 응하지 않으면 '해당 행위'가 되고, 도울 경우 홍 전 대표가 당선 후 복당하면 다음 지방선거 공천이 위태롭기 때문이다. '낮이밤홍'(낮에는 이인선 지지, 밤에는 홍준표 지지)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다.
수성구 한 지방의원은 "수성을 기초의원 중 일부는 '의리를 지켜 수성갑 선거를 돕자'는 사람도 있다"면서 "홍 전 대표가 무소속으로 수성을에 나오자 더욱 혼란스럽다. 당적으로는 이 후보를 도와야 하지만 전 당 대표를 무시할 수는 없어 어떤 분들은 '이 후보를 도우면서도 홍 후보에게도 줄 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을 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당에서 경고 메시지가 나왔다. 30일 황교안 통합당 대표는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서 "당헌당규를 개정해서라도 영구 입당 불허 등 강력 조치를 취하고 무소속을 돕는 당원들도 해당 행위로 중징계를 내릴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하지만 이러한 경고가 어느 정도 구속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경북의 한 전직 국회의원은 "총선이 끝나면 곧바로 대선이다. 과거에도 선거 때면 복당 불가를 이야기했지만 끝나고는 다 들어갔다. 이번 선거는 대선 국면으로 이어지는 만큼 무소속 당선자 몸값이 더 뛸 것"이라고 했다.
이어 "4년 전에도 같은 이야기가 있었지만 무소속으로 당선하니까 얼마 있지 않아 복당한 의원이 있다. 그 분은 자신을 따라나온 지방의원들을 전원 재입당시켰다"며 "지방의원 재입당 문제는 원칙적으로 시·도당 소관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