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5 총선 대구 수성갑에 출마한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주호영 미래통합당 후보, 수성을에 출마한 홍준표 무소속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첫날부터 대권 도전 의사를 밝힌 것은 선거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분석이다.
역대 대통령을 5명이나 배출한 대구경북(TK) 지역민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큰 정치인이 없다는 상실감과 정치력이 급락했다는 자괴감이 적지 않았다. 이들 후보는 이번 선거를 대권 도전의 전초전으로 몰고가 지지를 호소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권 도전에 나서 큰 정치를 원하는 시도민들의 정치적 갈증을 해소하겠다는 전략이다.
김부겸 후보는 TK에서 정치적 소수 정당인 민주당 간판을 달고 나온 탓에 '인물론'을 내세워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복안이고, 선거를 앞두고 수성을에 온 홍준표 후보도 그동안 "국회의원 한 번 더 하려고 대구에 온 게 아니다"고 밝혀온 탓에 대권 도전 선언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주호영 후보는 대권 도전 의사를 노골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당선되면 당내 최다선급 의원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7월 통합당 전당대회에 출마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대권과 당권을 두고 저울질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들은 대권 도전를 공식화하면서 경쟁 후보를 왜소하게 만들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김부겸 후보는 민주당 내에서 실제 잠재적 대권 후보로 평가를 받고 있고, 홍준표 후보는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를 지낸 경력이 있다.
반면 경쟁 후보들은 김·홍 후보만큼 공세적으로 대권 도전을 밝히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계산이 깔렸다는 해석도 나온다. 상대 후보를 지역 후보로 묶고 자신들은 전국적 인물이라는 구도로 만들려는 전략이라는 것.
하지만 두 후보 모두 국면 전환용이라는 얘기도 있다. 현재 판세가 그다지 유리하지 않은 탓에 대권론을 내세워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주 후보는 "첫날 대권 도전을 선언한 것은 총선 쟁점을 흩뜨리는 것이고, 현재 불안하니까 살려달라는 호소일 뿐"이라고 비판했고, 이인선 통합당 후보(수성을)는 "수성구는 국회의원을 뽑는 곳이지, 홍 후보의 '대선 놀이터'가 아니다"며 "수성구를 자신의 대권 욕망을 채우는 1회용 소모품으로 여기지 말고, 후보 사퇴로 보수 단일화의 대의에 따라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