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쇼크로 올해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가운데 2분기 상황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분기 경제 충격이 민간 소비와 서비스업 생산에 영향을 미친 반면, 2분기부터는 수출과 제조업 생산 전반으로 그 파급력이 본격 확산되면서 코로나 발 경제위기가 더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국내 코로나19 확산으로 1분기 한국경제 성장률이 - 1.4%로 떨어졌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민간소비 부문의 위축이 두드러졌다. 전 분기 대비 6.4%가 감소해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 1분기(-13.8%) 이후 가장 컸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소비자들이 외출을 삼가면서 아예 지갑을 열 새가 없었던 것이다.
소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다.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체 수출감소는 2%에 그쳤고,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출도 성장률을 0.2%포인트(p) 끌어올렸다.
문제는 2분기부터다. 3월 이후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로 감염병이 확산하면서 글로벌 경제가 흔들리고 있어서다. 코로나 감염을 막기 위한 제조 공장 셧다운이 세계 곳곳에서 속출했고, 이동 통제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돼 수출 제조업 전반의 2분기 실적 하락이 본격화 할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3.0%로 내다봤다.
특히 대구경북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코로나19 확진자의 77%가 대구경북에서 발생하는 등 피해가 집중된데다 기존에도 지역 경기침체가 심화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김용현 대구경북연구원 경제일자리연구실 연구위원은 "앞서도 대구경북은 전체 한국경제 성장률을 1%가량 밑돌았다. 더구나 대구경북은 중간재를 수출하는 제조업 중소기업들이 많아보니 이동제한과 생산 중단 등으로 인한 2분기 타격이 더욱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아직까지 실물 위기가 가시화하지 않았다고 본다"며 "2분기 소비가 일부 진작된다하더라도 1분기보다 더 나쁜 성적표를 예견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