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이 '세대 교체설'을 두고 당내 난타전이 벌어지고 있다.
통합당의 재건을 주도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가 혁신의 화두로 던진 '세대 교체설' 주장에 기존 당내 대선 후보급 인사들이 극심하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차기 대선을 둘러싼 통합당 내 각 주자들 사이의 힘겨루기가 예상보다 일찍 시작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김 내정자는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한 지난 24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세대가 바로 3040으로, 그들의 마음을 잡지 못하면 2년 후 대선을 치를 수 없다"며 "가급적이면 70년대생 가운데 경제에 대해 철저하게 공부한 사람이 후보로 나서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의중을 밝혔다.
특히 김 내정자는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에 각 정당의 후보로 나섰던 인사들은 차기 주자로서 적합지 않다는 의중을 밝혀 당 안팎의 기존 대권주자들로부터 십자포화를 맞고 있다.
김 내정자가 "지난 대선에 출마한 사람들 시효는 끝났다고 본다. 검증이 다 끝났는데, 뭘 또 나오느냐"라는 발언을 내놓자 지난 대선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나섰던 홍준표 당선인은 '부패인사' 프레임으로 김 내정자에 대한 반격에 돌입했다. 홍 당선인은 "검사 시절 김종인 뇌물 사건을 자백받은 적이 있다"며 "정계에 기웃거리지 말라"고 일침을 놨다.
지난 대선에서 바른정당 후보로 출마했던 유승민 의원(대구 동을)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김 내정자를 향해 견제구를 날렸다. 유 의원은 지난 23일 한 TV 토론회에 출연해 "우리가 왜 졌는지, 앞으로 국민의 마음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내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누가 가르쳐주는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알아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생환한 정진석·하태경 의원 등 당내 중진들이 세대 교체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김 내정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고, 초·재선 의원들도 비대위 체제를 선호하고 있어 양측의 권력투쟁은 앞으로 더욱 첨예해질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