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일 치러질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경선이 '주호영(이종배) vs 권영세(조해진)' 후보의 양자대결로 확정된 가운데 보수당 지도부 구성이 논의될 때마다 불거졌던 '영남 2선 후퇴론'이 이번에는 힘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4·15 총선 참패로 당내에서 텃밭인 영남의 목소리가 커질 대로 커진데다 당선인 사이에서 그동안 수도권 출신 지도부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총선에서 통합당 당선인의 67%가 영남에서 배출됐고, 서울·인천·경기를 다 합친 당선인(16명)이 대구경북 당선인(24명)의 3분의 2밖에 안 된다. 이 같은 엄연한 현실을 외면하고 '텃밭'을 노골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국민을 상대로 눈 가리고 아웅 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며 "수도권 국회의원은 금메달 국회의원이고, 영남 국회의원은 동메달 국회의원이 아닌 이상 당이 상식선에서 의사결정을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아울러 그동안 김성태(서울)-나경원(서울)-심재철(경기) 원내대표로 이어온 수도권 출신 원내사령탑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당내 평가도 '수도권 출신 간판론'에 제동을 걸고 있다.
자유한국당 시절 김성태 원내대표는 협상보다는 대여 공격에 치중했고, '드루킹 특검'을 요구하며 단식농성까지 벌였지만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지난해 패스트트랙 정국에서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강경책으로 일관하다 '빠루 원내대표'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심재철 원내대표 역시 이번 총선 참패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수도권 출신이 전면에 나선다고 해서 국민들로부터 전국 정당으로 인정받고 중도층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수도권은 총선에서 참패해도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수도권 출신 지도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권영세 의원조차 당장 눈앞의 득표를 위해 영남 출신 인사를 러닝메이트(정책위원회의장 후보)로 지명하는 꼼수를 부리자 이에 대한 반감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이와 함께 공안검사 출신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주중대사를 지낸 권 의원이 당의 쇄신을 주도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통합당 관계자는 "권 의원이 당의 혁신과 개혁을 약속했지만 국민들 시선에서 'Again(다시) 황교안'으로 비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일과 3일 각각 출마를 선언했던 이명수·김태흠 의원은 러닝메이트를 구하지 못해 6일 출마의사를 철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