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아직 안심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없는 상태이다. 정부 방침보다 한층 강화된 방역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특별담화문을 대하는 시민들의 마음은 착잡하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종지부를 찍고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는 전국적인 상황과는 다른 대구만의 삭막한 현실에 대한 소외감과 박탈감 때문일 것이다.
대구는 코로나 확산으로 일대 혼란을 겪었다. 전국 코로나 확진자 중 63.5%가 대구에서 발생했다. 아직도 완치 후 재양성 환자는 물론 무증상 전파자가 상존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까지도 감염 경로가 불확실한 확진자들이 발생한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대구시가 정부의 생활방역에 보폭을 맞추면서도 지역 상황에 맞는 특별한 방역 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이유일 것이다.
버스와 도시철도, 택시 등 다중이 이용하는 교통수단과 공공시설에서 마스크 쓰기를 의무화하는 행정명령도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또한 공연장과 도서관, 미술관, 체육관 등 실내 공공시설의 휴관 연장과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생활복지 시설 개방 시기도 재검토할 방침이다.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학생들의 등교 개학도 지역 상황에 맞게 재조정하는 방안을 대구시교육청과 논의 중이라고 한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방역 당국과 감염병 전문가, 의료계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시민 참여형 상시방역 체계'를 구축한다. 혹시 모를 2차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들이다. 성급한 일상 복귀보다는 방역에 좀 더 무게를 두며 조금씩 일상으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은 혼란스럽다. 코로나19가 초래한 충격과 피해의 종착역은 어디일까. 대구는 전염병 환란과 경제적 고통 속에 외부의 모멸적인 언사까지 감내해야 했다. 이제 대구 학생들의 학습권 박탈은 물론 상대적인 학력 저하까지 감수해야 할 처지에 놓여 있다. 대구 시민이 껴안고 살아야 할 정신적·물질적인 피해와 상대적인 박탈감은 누가 무엇으로 보상할 것인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