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이하 구미공단)의 경기가 올 하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공공요금 감면 ▷자금지원 확대 ▷규제개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달 1일부터 19일까지 지역 내 1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3/4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 에 따르면 BSI(기업경기실사지수) 전망치는 48로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1/4분기 43)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게다가 구미공단은 글로벌 장기 경기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더해져 하반기에도 반등세는 미약할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섬유·화학 24, 기계·금속·자동차부품 45, 전기·전자 74, 기타 55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컸던 섬유업계는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한 반면 전기전자 업종은 비교적 높았다.
지역별 BSI를 살펴보면 경남(43), 경북(45), 대구(46), 울산(48) 등 영남지역은 전국 평균(55)를 밑돌았다. 제주(77), 대전 (76), 강원(73), 광주(70), 서울(66)은 평균보다 높았다.
악화하고 있는 경제 상황 속에서도 기업체들은 별다른 대응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구미공단 기업체 51.1%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으며, 34.1%는 '대응책을 찾고 있다'고 했다. 기업체 14.8%만이 '대응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기업체들은 장기적인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21대 국회에 투자·소비 활성화법안 마련(32.4%), 추경 등 코로나19 피해대응조치(25.7%),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방안(22.9%), 기업 부담입법 지양(15.1%), 서비스·신산업 육성법안·(2.8%) 등을 요구했다.
김달호 구미상공회의소 "당장 급한 불을 끌 수 있도록 전기료 등 공공요금 감면과 자금지원 확대가 절실하며,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며 "기존기업의 신증설 투자에 대해 수도권 기업 지방 이전에 버금가는 지원이 있어야 투자 불씨라도 살릴 수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