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소득자의 세부담을 강화한다. 소득세 인상 대상은 연 소득 10억 원이 넘는 초고소득자, 1만여 명 정도로 이들의 세부담은 연간 5천만 원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2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0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소득세 최고세율이 3%p 인상돼 45%(과세표준 10억 초과)로 변경된다. 현행 소득세 최고세율은 42%(과세표준 5억 초과)다. 즉 과표가 10억 원을 넘으면 세율이 3%p 오른다는 얘기다.
정부는 2018년 귀속분을 기준으로 10억 원 초과 과표를 적용받게 되는 인원을 1만6천 명으로 추산했다. 또 세수는 연간 9천억 원 가량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재부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과세표준이 30억 원인 납세자의 경우 현재 기준으로 납부할 소득세는 12억2천460만 원이지만 개정안이 적용되면 12억8천460만 원으로 6천만 원 늘어날 전망이다.
이로써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소득세 최고세율이 14번째로 높은 국가가 된다.
OECD의 평균 소득세 최고세율은 35.7%지만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천만 명 이상인 일명 '3050클럽' 6개국(일본·프랑스·독일·영국·이탈리아·미국)은 43.3% 수준으로 우리와 큰 차이가 없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일본·프랑스·독일·영국은 최고세율이 45%로 이번에 우리나라의 상향조정 수준과 같다.
정부는 최고세율을 인상한 이유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연대(Solidarity)를 들었다. 즉 코로나19가 닥쳐도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고 조세부담 여력이 있는 초고소득자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을 돕는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초고소득자들이 금융소득 개편안을 완화한 데 따른 후폭풍을 맞은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 인상과 함께 '부자 증세'를 내놓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부동산 세제 강화도 부자들의 세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정부는 3주택 이상 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 보유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율을 0.6~2.8%p 인상하기로 했다. 현재(0.6~3.2%)보다 2배 가까이 높은 1.2~6.0% 세율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1년 미만 보유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율을 40%에서 70%로 올린다. 2년 미만 보유 주택도 양도세율이 60%로 올라간다. 또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도 최대 30%p 인상되면서 3주택자의 경우 최대 72%의 양도세를 내게 된다. 정부는 이번 세제 개편으로 전 국민의 약 0.4%의 세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