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이 국민건강보험제도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 건강보험의 우수성을 알게 됐고, 건강보험으로 코로나19 치료를 부담 없이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건강보험과 관련해선 92.1%가 긍정적(매우 긍정적 24.4%, 대체로 긍정적 67.7%)으로 평가했다.
연령대별로 60대에서 95.6%로 가장 높았으며 70대 이상이 92.6%로 그 뒤를 이었고 20대와 30대는 91.6%, 40대 91.5%, 50대 90.7%순이었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7.9%(매우 부정적 1.3%, 대체로 부정적 6.6%)였다.
건강보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1천843명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해외국가 대비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우수성을 체감하게 돼서'(40.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보험으로 비용부담 없이 코로나19 진단을 받고 치료받을 수 있어서'(23.0%) ▷'코로나19에 걸리더라도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어서'(21.6%)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재난 상황에서 사회적 안전망의 중요성을 느끼게 돼서'(13.8%) 등 을 꼽았다.
건강보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는 코로나 사태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국가재난 상황에서 국민건강보험이 있어서 안심이 됐다'에 동의하는 응답이 94.8%(매우 동의 54.2%, 대체로 동의 40.6%)로 높게 나타났다.
94.6%는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가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국민들이 성실히 보험료를 납부해 온 덕분'(매우 동의 53.6%, 대체로 동의 40.9%)이라며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됐다'는 데에도 94.1%(매우 동의 54.5%, 39.6%)가 동의했다.
건강보험료 납부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다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88.9%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내가 낸 보험료가 가치 있게 쓰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매우 동의 45.4%, 대체로 동의 43.5%)며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를 누릴 수 있다면 적정수준의 보험료는 부담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고 답한 사람도 87.0%(매우 동의 39.3%, 대체로 동의 47.7%)나 됐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건강보험의 역할로 국민들은 '의료기관 방문조회 시스템을 활용한 감염대상자 정보 실시간 제공'(67.0%)이라고 인지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중증환자 분류 등 치료지원(55.3%)'과 '코로나19 치료비 건강보험 80% 지원'(50.6%) 등도 국민 절반 이상이 생각하는 건강보험이었다.
다만 '대구 등 특별재난지역의 3개월간 보험료 30~50% 보험료 감면'(35.0%)이나 '의료기관 안정적 운영을 위한 건강보험 급여 조기 지급'(34.7%) 등과 관련해선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졌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