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가 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 충격을 주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4~6월) 일본 경제는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내각부는 17일 물가 변동을 제외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이 전 분기와 비교해 7.8% 줄면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추세가 1년 지속하는 것으로 산출한 연간 실질 GDP 성장률은 -27.8%에 이른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리먼브라더스 사태) 당시인 2009년 1분기(-17.8%)보다 나쁜 실적으로, 관련 통계를 역산할 수 있는 1955년 이후 최대 역성장 기록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7일 도쿄와 오사카 등 확진자가 많이 나오던 7개 광역지역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전국으로 확대했다가 5월 25일 모두 해제했다.
올 2분기에는 외출과 여행 등 대외활동을 억제하는 긴급사태 발효 기간과 겹친 것이 GDP 역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영역별로는 GDP 기여도가 가장 큰 개인소비는 올 2분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출 자제 등의 여파로 전분기와 비교해 8.2% 급감했다.
긴급사태 발효에 따른 외출과 영업 자제의 영향으로 여행이나 외식 등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소비가 크게 줄어 들었다.
기업 설비 투자 역시 1.5% 감소하며 2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섰다.
수출은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8.5% 격감했고, 수입은 원유 수요 둔화로 0.5% 줄었다.
주택 투자는 0.2% 줄면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일본정부의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투자는 1.2% 성장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늘고 있지만 긴급사태로 대응하지 않는 올 3분기(7~9월)에는 성장세를 어느 정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눈치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