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 일본 사상 최대 역성장…2분기 GDP 27.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4~6월) 일본 경제는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스크를 착용한 일본 젊은이들이 도쿄 번화가인 시부야의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너가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4~6월) 일본 경제는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스크를 착용한 일본 젊은이들이 도쿄 번화가인 시부야의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너가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일본 경제가 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 충격을 주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4~6월) 일본 경제는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내각부는 17일 물가 변동을 제외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이 전 분기와 비교해 7.8% 줄면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추세가 1년 지속하는 것으로 산출한 연간 실질 GDP 성장률은 -27.8%에 이른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리먼브라더스 사태) 당시인 2009년 1분기(-17.8%)보다 나쁜 실적으로, 관련 통계를 역산할 수 있는 1955년 이후 최대 역성장 기록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7일 도쿄와 오사카 등 확진자가 많이 나오던 7개 광역지역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전국으로 확대했다가 5월 25일 모두 해제했다.

올 2분기에는 외출과 여행 등 대외활동을 억제하는 긴급사태 발효 기간과 겹친 것이 GDP 역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영역별로는 GDP 기여도가 가장 큰 개인소비는 올 2분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출 자제 등의 여파로 전분기와 비교해 8.2% 급감했다.

긴급사태 발효에 따른 외출과 영업 자제의 영향으로 여행이나 외식 등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소비가 크게 줄어 들었다.

기업 설비 투자 역시 1.5% 감소하며 2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섰다.

수출은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8.5% 격감했고, 수입은 원유 수요 둔화로 0.5% 줄었다.

주택 투자는 0.2% 줄면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일본정부의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투자는 1.2% 성장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늘고 있지만 긴급사태로 대응하지 않는 올 3분기(7~9월)에는 성장세를 어느 정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눈치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