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親日派)는 조선시대 말기 나라를 일본제국주의에 팔아먹었거나 일제에 부역(附逆)했던 사람들을 말한다. 반면에 요즘 新(신)친일파는 친중반미(親中反美)라는 특성이 있다. 이들이 친중파(親中派)이면서 친일파인 것은 결과적으로 '국익을 훼손하고 일본을 이롭게 한다'는 점에서 과거 친일파와 다를 바가 없는 탓이다. 한마디로 국제 정세 변화에 아둔하여 오로지 중국만 바라보며 "셰셰" 하다가 나라를 망치는 족속(族屬)이다. 조스트 주일미군 사령관(공군 중장)은 최근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자유·번영은 특히 중국 같은 적대적 국가들에 의해 점점 큰 도전(挑戰)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주일미군 사령부가 수년에 걸쳐 통합군사령부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혀 파문(波紋)이 일고 있다. 일본은 올해 3월 자위대 통합작전사령부를 창설했다. 향후 미군-자위대 간 협력 관계는 더욱 깊어질 것이다. 한국이 전시작전권 반환(返還)을 서두르는 것과 정확히 반대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일본의 군사력과 국제적 영향력은 커지고, 한국의 힘은 점차 빠지는 모양새로 진행 중이다. 어쩌면 주일미군 사령관이 '대장'으로 승격되고, 주한미군 사령관(현재 대장)은 '중장'으로 강등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본이 인·태 지역 안보의 핵심 국가로 부상(浮上)하고, 한국은 그 주변 지역으로 전락(轉落)하는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 시절, '한국군과 주한미군(2만8천여 명)을 중심축으로 주일미군(5만5천여 명)이 지원한다'던 개념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뒤바뀌고 있다. 대체 한국 내 어떤 세력이 전범(戰犯) 국가인 일본의 군사력을 확대시키고 국제적 영향력까지 키울 수 있도록 명분을 제공하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뒤따를 경제적 손실 또한 막대하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가 '따 놓은 당상(堂上)'처럼 여겼던 연간 20조원의 미 함정 수리·유지·보수 사업과 1천600조원 규모의 미 함정 건조 사업 대부분이 일본에 넘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완전히 친중(親中)을 빌미 삼아 일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국제 왕따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책임 있는 정부라면 이념(理念)이 아니라 국익(國益)을 따라야 한다. 안보와 외교·경제·무역은 한 묶음으로 움직인다. sukmin@imaeil.com
2025-07-03 20:04:56
희망여성포럼-대구이순신학교 '한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한 어울림 한마당'
희망여성포럼(회장 최현애)과 대구이순신학교(회장 사공정규)는 지난달 27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한국콜마 여주아카데미에서 '제1회 작은 음악회 및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한 어울림 한마당'을 공동 개최했다. 또 세종정부청사, 한국콜마세종공장, 세종대왕릉, 여주여백서원 등을 탐방했으며,특히 무궁화 역사 문화관을 관람할 때에는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이 직접 해설을 맡았다.
2025-06-30 11:16:05
욕설(辱說)은 남의 인격을 무시하고 모욕·저주하는 말이다. 스스로의 품격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남의 손가락질 대상이 되기도 한다. 욕설은 나쁜 것이며,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상식(常識)이다. 이 때문에 최강국 미국 대통령이 공개 석상에서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다분히 의도적으로' 쌍욕을 내뱉었다면 충분히 국제적 화제가 될 만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백악관에서 TV 생중계 중 '12일 전쟁' 휴전(休戰) 이후에도 충돌하는 이스라엘-이란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답변하면서 "f**K(빌어먹을)"이라는 욕설을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상쾌한 솔직함'이라며 옹호(擁護)에 나섰지만, 대부분 언론은 'F폭탄'이라고 부르면서 트럼프식 수사법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나타냈다. 욕설 화법(話法)을 옹호할 생각은 없다. 다만 '트럼프 욕설' 이후 바뀐 세상에 주목한다. 먼저 불안불안하면서도 이스라엘-이란 휴전이 이어지고 있다. 이란에 확실하게 보복(報復)한다면서 테헤란을 향했던 이스라엘의 대규모 폭격 편대는 트럼프의 한마디에 기수를 돌렸다. 한때 배럴당 80달러에 육박했던 국제유가는 당일 64달러 수준으로 추락했다. 덕분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거의 모든 나라들이 한숨 놓게 되었다. 과(過)히 트럼프 욕설의 이로움이라고 할 만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인근 지역에 탱크 등으로 중무장한 3천 명의 특수부대를 파견한 것도 눈길을 끈다. 특히 이들이 공수부대(空輸部隊)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B-2 스텔스 폭격 편대와 미국 잠수함의 위력(威力)은 이미 포르도·나탄즈·이스파한에 대한 벙커버스터 및 토마호크 미사일 공격에서 증명됐다. 지금처럼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한 상태라면, 언제든지 특정 지역에 공수부대를 투입해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고 손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트럼프의 말에는 행동(行動)이 뒤따른다는 점에서 무섭다. 아마도 욕설 뒤에 따르는 행동은 더욱 과격(過激)할 것이다. 그래서인지 25일 나토(NATO) 32개국은 그동안의 불협화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해 온 '국방비 GDP 5%' 수용에 합의하는 공동성명(共同聲明)을 발표했다. 욕설이 세계 평화와 경제의 안정을 가져온 셈이다. 트럼프 욕설의 패러독스가 아닐 수 없다. sukmin@imaeil.com
2025-06-26 20:20:29
미국의 이스라엘-이란 전쟁 직접 개입이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어쩌면 독자들이 이 글을 읽을 때쯤 이미 미군(美軍)의 폭격이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 사실 미국은 중동 갈등에 직접 개입하기를 기피하면서 조정자(調停者)로서의 역할을 더 우선시했다. 아프가니스탄 등에서의 아픈 기억과 얽히고설킨 중동(中東) 정세가 그 이유로 해석된다. 이스라엘의 과감한 선제공격(先制攻擊)과 효과적인 전과(戰果)는 상황을 크게 바꿔 버렸다. 미국과 서방 자유세계로 하여금 '이번 기회에 중동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겠다'라는 신념을(信念) 갖게 만든 것이다. 향후 전쟁이 어떻게 결말 지어질지를 예측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다만 이스라엘은 나라의 국운(國運)과 개인의 목숨을 걸고 전쟁에 나섰고, 그 주된 이유 중 하나가 "미래 세대를 이란의 핵 위협 속에서 살게 할 수는 없다"는 책임감이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전쟁(戰爭)을 지지한다거나 이란 국민들의 아픔을 외면하자는 것이 아니다. 전쟁 당사자인 이스라엘 국민들도 적지 않은 피해를 겪고 있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때로는 현재의 아픔과 어려움을 순간적으로 회피하기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어렵고 힘들더라도 근본적인 해결을 향한 더 큰 고통을 감내(堪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미래 세대 역시 많이 아프고 힘들다. 청년층 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5월 이후 13개월 연속 내리막길이고, 일도 구직도 하지 않은 채 아예 구직 시장을 이탈해 쉬고 있는 청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들에겐 의욕도 희망도 없는 셈이다. 이에 이재명 정부는 '20조원+α' 규모의 2차 추경을 통해 13조원 정도를 민생지원금(民生支援金)으로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예상보다 세입이 덜 들어와 지출을 줄여야 할 경우를 대비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세수만큼 국채(國債)를 발행해 미리 메워 두는 세입 경정도 이뤄질 전망이다. 모두가 빚이다. 오늘 민생지원금 받고, 내일 빚을 갚으라고 한다면 좋아할 국민은 없다. 그렇기에 이 빚더미는 MZ 세대에게 전가(轉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래 세대를 위해 전쟁도 불사하는 이스라엘과 오늘 좀 편하자고 미래 세대에게 빚더미를 물려주려는 한국이 극명하게 대비된다. sukmin@imaeil.com
2025-06-19 19:52:08
[매일칼럼-석민] 사회적 약자를 위한다는 새빨간 거짓말
내우외환(內憂外患)이 따로 없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스라엘-이란 전쟁마저 터졌다. 주요 석유·가스 공급처인 중동(中東)에서의 전쟁은 세계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줄 수 있다. 특히 에너지와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수출해야 먹고살 수 있는 대한민국은 글로벌 위기에 가장 취약한 국가 중 하나다. 이 와중에 노동계는 '주 4.5일제 근무' 도입과 더불어 내년도 최저임금(最低賃金)으로 올해보다 14.7%나 인상된 1만1천500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할 수만 있다면 최저임금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이고, 일은 되도록 적게 하면서 임금은 많이 받으면 좋다. 현실에선 이런 모순(矛盾)이 수용되거나 좋은 결과를 낳기 어려운 탓에 이런 사람들을 향해 '놀부 심보'라고 한다. 더군다나 조직화(組織化)된 노동자들의 요구에 의한 과도한 최저임금 인상이 그들보다 훨씬 취약한 노동계층의 생계 수단인 일자리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이것은 일종의 사회적 죄악(罪惡)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낳은 비극(悲劇)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당시 알바생 3명이 교대로 근무하던 단골 카페는 주인 아주머니와 알바생 1명이 얼굴이 반쪽이 된 채 커피를 내리고 있었다. 실제로 소상공인연합회 설문조사 결과, 2026년 최저임금이 인상될 경우 ▷신규 채용 축소(67.7%) ▷인력 감원(52.9%) ▷근무 시간 단축(43.3%) 등의 응답이 나왔다. 사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온전하게 이득(利得)을 볼 노동자는 부담을 하청업체나 국민 경제에 떠넘길 수 있는 대기업 또는 공공 부문에 엮여 있는 일부 비정규직 정도가 전부다. 물론 이들의 임금과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지만, 자신들보다 더 취약한 노동자를 향해 '너 죽고 나 살자'는 방식은 '전 세계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는 마르크스주의에 비춰 보더라도 도리(道理)가 아니다. 이재명 정부의 공약인 '주 4.5일제 도입'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의 노동생산성(勞動生産性)이 미국의 57%, 독일의 65% 수준이라는 주장은 차치(且置)하자. 노동계 말처럼 근로시간을 줄이면 생산성은 높아진다. 국가 경쟁력이 실질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이 아니라 수치상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뜻이다. 이른바 '꼼수' 생산성 증가이다. 주 4.5일제가 도입될 경우 그 혜택(惠澤)이 누구에게 돌아갈까를 생각해 보면 기가 막힌다. 노동자 모두가 수혜를 본다고 여긴다면 착각이다. 한국 전체 노동자 중 서비스업 종사자 비율이 75%에 육박한다. 현실적으로 주 4.5일제 혜택을 받기 어려운 서비스업 자영업자와 비정규직의 비율이 아주 높다. 게다가 노동 조건이 열악한 5인 미만 사업체 노동자, 플랫폼 노동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2024년 기준 전체 사업장의 84.7%, 전체 노동자의 36.3%가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은 주 52시간제, 연차휴가, 유급휴일 등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도 아니다. 이들에게 주 4.5일제 적용은 언감생심(焉敢生心)이다.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전체 노동자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서비스업 노동자의 소득 저하 및 고용 불안이 오히려 높아진다.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 등 노동귀족(勞動貴族)을 위한 주 4.5일제 도입보다 시급한 것은 이중적 노동시장 구조를 혁신하는 것이다. 일거리가 많을 때 많이 일하고, 적을 때 충분히 쉬는 유연성도 필요하다. '노동 약자를 위해 노동운동을 한다'는 거짓말은 더 이상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2025-06-16 19:59:22
(주)루브캠코리아, 2025년 공장견학 및 특수윤활 기술세미나 개최
대구에 본사, 경북 고령에 기술연구소와 생산공장을 둔 산업용 특수 윤활제 제조 전문기업 ㈜루브캠코리아(대표 이승우)가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1박2일간 국내 시멘트업계 관계자들을 초청, 기술연구소 및 생산 공정 견학과 시멘트 특수 윤활제 기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시멘트산업 윤활기술 세미나는 'CILTEC 2025(Cement Industry Lubrication Technology Workshop)'로 개편되어 규모와 프로그램을 한층 확대했으며, 100여 명이 참가해 지난해 대비 150% 이상 증가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번 행사에는 쌍용C&E, 삼표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시멘트 등 국내 전 시멘트업체는 물론, 탄산칼슘 제조업체 등 시멘트산업 관련사 임직원들이 대거 참석함으로써 국내 최대 규모의 시멘트 전문 윤활 세미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는 수년 전부터 루브캠이 맞춤 개발한 특수 윤활 제품을 생산설비에 적용하여 설비 안정화, 유지보수 비용 절감, 국산화에 따른 원가 절감 등 다양한 경영개선 성과를 거둬온 다수의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해 주목을 받았다. 게다가 임원급인 각 지역 공장장들을 포함한 생산, 기계, 설비, 구매부서의 부서장과 실무 담당자들이 상당수 참가함으로써 동종업계 간 윤활기술 교류에도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승우 대표이사는 "루브캠코리아는 기술 중심 기업으로서 특수윤활제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분석 장비를 가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품질을 인정받아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면서 "아직 일부 국내 기업들이 해외 브랜드에 의존하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연구·품질관리·생산 라인을 개방하고 기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5월로 창립 27주년을 맞은 ㈜루브캠코리아는 해외 8개국에 현지 법인과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삼성·LG·포스코·현대기아차 등 대기업과 철강, 자동차, 시멘트, 베어링, 가전, 화학 등 전 산업 분야에 800여 종의 맞춤형 특수윤활제를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는 기술 중심 기업이다.
2025-06-14 12:27:25
한·중수교 33주년 기념포럼 국회 개최…한·중관계 새 지평 모색하자!
한·중교류촉진위원회(총재 박언휘, 위원장 이창호)와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국회의원실은 공동으로 지난 12일(목)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한·중수교 33주년 기념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인류운명공동체와 새로운 한중관계'를 대주제로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상생과 협력의 길을 모색하는 양국의 비전을 조명했다. 이날 행사는 이창호 위원장(새 시대를 이끄는 시진핑과 한중관계 저자)의 기조 강연에 이어, 장영권 국가미래전략원 대표(한‧중 관계의 새로운 꿈: 더 좋은 세계 공동창조와 실현 전략)와 김문준 한경국립대학교 외래교수(한국과 중국 문화적 공동가치와 상호존중)의 발제가 진행됐다.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는 이날 축사에서 "최근 세계는 100년 만의 대변화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국제 및 지역 정세 또한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면서 "한중 관계 발전 역시 여러 난관을 겪었고, 관련된 경험과 교훈을 깊이 배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언휘 한중교류촉진위원회 총재(박언휘종합내과 원장)는 인사말을 통해 "지난 33년 동안 한중 관계는 단순한 이해관계를 넘어, 신뢰와 상생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 왔다"면서 "한중교류촉진위원회는 양국 간 교류의 다리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상호 이해 증진과 실질적 협력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6-14 11:43:35
부실 자산을 인수해 정리하는 기관을 배드뱅크(Bad Bank)라고 한다. 1980년대 미국의 부실 저축대부조합, 은행 등을 정리할 때 처음 도입되었다. 이재명 정부가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부채를 적극 탕감해 주겠다고 나서면서 배드뱅크 설립(設立)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자영업자의 전체 부채(負債) 규모는 1천64조2천억원이다. 이 중에서 올해 9월까지 만기 연장(47조4천억원) 또는 원리금 상환이 유예(2조5천억원)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악성' 코로나19 대출은 49조9천억원이다. 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정부 때에도 빚 탕감 정책이 있었지만 기준(基準)이 엄격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대선 후보 시절, "코로나 시기 국가가 나눠서 졌어야 할 책임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떠넘긴 건 부당하다"고 한 것으로 미뤄 볼 때, 이재명 정부는 훨씬 더 과감하게 빚 탕감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分析)이다. 하지만 '국가'의 책임이란 결국 '국민 모두의 책임' 또는 '부담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결과'로 귀결(歸結)될 수밖에 없다. 개인이 갚아야 할 빚을 미래 세대를 포함한 사회 전체가 대신 부담하는 셈이다. 국가라고 해서 마구잡이로 돈을 찍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다간 현재의 북한이나 히틀러 집권 전 독일 꼴이 난다. 더군다나 우리는 미국과 같은 기축통화국(基軸通貨國)도 아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발생한 50조원의 소상공인 긴급 대출(貸出)은 2022년 6월 윤석열 정부 초기 141조원 규모로 불어났지만, 대출 만기를 최대 3년까지 연장하는 사이 대출 규모가 약 50조원으로 줄어들었다. 착하고 부지런한 자영업자들이 각고(刻苦)의 노력으로 약 91조원의 빚을 성실하게 갚아 온 결과다. 만약에 무절제한 대규모 빚 탕감이 이뤄진다면 어렵게 빚을 갚은 수많은 착한 사람들은 한순간에 '바보'가 되고 만다. '버티면 빚은 없어진다'는 도덕적 해이(解弛)는 극에 달할 것이다. 채무조정(債務調整)의 필요성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이보다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은 기업과 소비를 살려 자영업자들이 스스로 돈을 벌어 빚을 갚을 수 있는 경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sukmin@imaeil.com
2025-06-12 20:04:08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라는 말이 있다. 과거의 나쁜 경험(經驗)은 깊은 정신적 트라우마로 남기 마련이다. 한국GM은 '2025년 임금협상 1차 교섭'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서울 양평·동서울, 부산, 인천, 대전, 광주, 전주, 원주 등 전국 9개 직영 서비스센터를 순차적으로 매각(賣却)하고, 부평공장의 유휴 자산과 토지를 매각하겠다고 전 직원에게 공지했다. 2018년 군산공장 및 인천 부평2공장 폐쇄의 악몽이 되살아나는 것은 당연하다. 이후 여러 우여곡절(迂餘曲折)을 겪으면서 일자리는 사라졌고 군산 지역 전체가 완전히 활력을 잃어버렸다는 분석이다. 당시 우리 정부는 공적자금 8천억원을 제공하면서, GM 측으로부터 "향후 10년간 한국사업장을 유지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겨우 부평1공장과 창원공장만 남았다. 이제 2027년이면 약속한 시점이 완료된다. 사측의 강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GM의 '한국 철수설'이 나오는 배경이다. 그도 그럴 것이 10년 전만 해도 10% 안팎이었던 내수 점유율(占有率)은 1%대로 떨어졌고, 한국GM의 지난해 생산량 49만9천559대 중 83.8%가 미국 수출 물량이었다. 게다가 미래차 전환 계획조차 없다. 직원들의 불안감(不安感)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공교롭게도 GM은 최근 뉴욕 공장에 사상 최대 규모인 8억8천800만달러(약 1조2천억원)를 투자해 6세대 8기통 엔진 생산을 늘린다고 발표했다. 수입차에 대해 관세(關稅) 25%를 부과한다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와 맞물려 한국GM의 입지를 위축(萎縮)시키는 소식이다. GM은 오래전부터 호주(2013년), 유럽(2017년) 등 해외 공장을 매각하면서 북미 시장에 집중하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한국GM에 아직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일자리를 건 생존 투쟁(生存鬪爭)이 시작된 셈이다. 반면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으로 상여금 900%, 순이익 30% 성과급, 월 기본급과 각종 수당 인상 및 신설, 정년 64세 연장,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 등을 확정했다. 과연 생존을 위협받는 서민 노동자와 차별화되는 '노동 귀족'스럽다. 현대차의 화양연화(花樣年華)는 언제까지 계속될지 궁금해진다. sukmin@imaeil.com
2025-06-04 02:00:00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은 27일 "눈앞에 닥친 괴물독재국가(怪物獨裁國家) 출현을 막는 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가장 적합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래서 저는 제 한 표를 그에게 주기로 했다"면서 "고통스럽더라도 최선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최악을 피하는 선택이라도 하자"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적자(嫡子)라고 할 수 있는 이 고문이 보수·우파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 것은 역사적(歷史的) 사건이다. 대한민국이 처한 상황이 그만큼 엄중(嚴重)하다는 뜻이다. 대한민국은 입법·행정·사법 삼권분립의 원칙과, 견제와 균형을 바탕으로 한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수립된 나라이다. 거대 야당의 입법 독재는 대통령 탄핵으로 사실상 행정부를 와해(瓦解)시켰고,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유죄 판결을 내린 대법원과 사법부를 향해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12개 혐의 5개 재판을 받고 사실상 유죄가 확정된 피고인이 유력한 차기 대통령 후보이다. 이 과정에서 비열(卑劣)한 좌파 사법 카르텔과 비겁(卑怯)한 법관들이 이념·권력·돈에 눈멀어 법과 양심을 내다 버렸고, 좌·우 정치사회 기득권과 언론 등은 영원한 권력을 누릴 수 있는 의원내각제 개헌에 나라를 팔았다. 중국에 "셰셰"하든, 일본에 나라를 넘기든 '내게 이익이면 오케이'라는 부패 기득권(旣得權)의 발상은 역사 이래 한국사 비극의 씨앗이었다. 국난(國難)이 닥치면 그 피해와 희생은 오로지 민중의 몫이었고, 나라를 살리고 지키는 역할 또한 민중(民衆)이 떠맡았다. 행주치마에 돌멩이 하나라도 더 담아 적(敵)을 막아 내려는 마음과 그 정성이 시대적 영웅을 만나 나라를 지켜온 것이다. 좀처럼 정치적 발언과 외부 활동을 자제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김문수 후보를 언급하며 8년 만에 구미 박정희 대통령 생가와 옥천 육영수 여사 생가를 방문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깨끗한 김문수 후보를 반드시 당선시키기 위해 왔다"면서 김문수 후보와 점심을 함께했다. 극한 위기에 본색(本色)이 드러난다. 보수·우파, 양심적·합리적 좌파가 함께 뭉치는 데 딴 길 보기 하는 참칭(僭稱) 보수는 사이비다. 우리가 행주치마의 정성으로 반드시 투표할 때 나라를 지키고 구할 수 있다. sukmin@imaeil.com
2025-05-29 20:01:15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 3기(회장 성희경)는 2025년 해외 문화 활동으로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2박3일간 일본 마츠야마를 방문, 도고가라스 미술관·우치코 생활박물관 ·도고 온천가 마을·마츠야마성· 카미하가 저택 등을 둘러봤다.
2025-05-26 13:11:28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경제론(經濟論)이라고 하면 '커피 원가 120원'과 '호텔 경제론'이 당장 떠오른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고, 본의 아니게 취지가 왜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잘못을 억지로 정당화하려다 보면 견강부회(牽強附會)라는 고집과 아집만 남게 된다. 이 후보는 지난 20일 '커피 원가 120원' 논란과 관련, "손님 많이 오는 게 더 낫지 않냐. (판매 종목을 닭죽에서 커피로) 바꾸라고 얘기했다. 틀린 말 했냐"라면서 되레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는 16일 전북 군산 유세에서 "커피 한 잔 팔면 8천원에서 1만원을 받을 수 있는데 원가가 내가 알아보니까 120원이더라"라고 했다. 난데없이 폭리(暴利)를 취하는 악덕업자가 되어 버린, 겨우 생계를 유지할까 말까 하는 커피점주들로서는 기가 찰 노릇이다. 커피 원가에는 원두 가격뿐만 아니라, 임차료·인건비·각종 시설비 등 운영에 필요한 모든 비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후보가 원가계산(原價計算)을 잘못한 셈이다. 이런 식으로 가게나 기업 등을 경영하게 되면, '앞으로 남고 뒤로 빚더미에 앉는 상황'이 벌어진다. 기본소득과 지역화폐 도입을 설명하면서 '돈(화폐)은 돌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호텔 경제론은 '노쇼(No Show) 부도학(不渡學)'이라고 할 만하다. 우선 한계소비성향이 '1'이라는 전제 자체가 비현실적이다. 나랏돈의 한계소비성향은 0.2~0.3이 현실적이라고 한다. 정부가 1만원을 풀면 겨우 2천~3천원이 소비된다는 것이다. 또 호텔 경제론에는 '여행객이 예약을 취소하고 10만원을 환불해 간 이후 상황'이 생략되어 있다. 수입 없이 지출만 한 호텔이 먼저 부도가 나고, 그 파급효과는 가구점, 치킨점, 문방구 등으로 확산되어 온 동네가 파산(破産)해 버릴 수도 있다. 이 후보의 경제학, 재명노믹스의 위험성(危險性) 경고는 '커피 원가 120원' 및 '호텔 경제학'이 단순한 실수·오류가 아니라 신념(信念)에서 비롯되었다는 우려에서 나온다. 이 후보는 20일 "돈은 돌기 때문에 돈이다. 이걸 모르는 바보들이 있다"고 했다. 그 돈이 민중(民衆)의 피땀에서 나온다는 진실이 빠져 있다. 누가 바보인가? sukmin@imaeil.com
2025-05-22 20:11:41
대구2·28기념학생도서관, 학교 도서관 담당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대구2‧28기념학생도서관(관장 김칠구)은 오는 6월 30일까지 3개월 간 474개 초·중·고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AI시대에 발맞춰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 및 독서인문 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실무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15개 과정으로 구성되며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우수 사례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히 현장교사, 사서교사, 독서교육 전문가들이 직접 강사로 참여한다. 주요 과정으로는 ▷인공지능시대, 문해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독서프로그램 ▷수품책을 활용한 독서프로그램 운영사례 ▷학교 독서인문 동아리 운영사례 ▷IB 학교에서의 사서의 역할 ▷학생 책 읽기 습관을 위한 독서 코칭 등이 있다. 김칠구 관장은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의 문해력과 사고력, 인문적 소양을 키우는 중요한 교육 공간"이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해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5-20 16:06:10
대지진(大地震)이 일어나면 중소 규모의 여진(餘震)이 수없이 이어지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다. 미·중 관세 전쟁 역시 그렇다. 겉보기엔 무역 분쟁처럼 보일지라도 실상은 '새로운 세계 질서'의 향방을 두고 벌이는 패권(霸權) 다툼이 본질이다. 싸움의 결과는 어느 정도 예상되고 있다. '향후 100년간 미국에 대적하지 말고 도광양회(韜光養晦·자신의 재능이나 명성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하라'는 덩샤오핑 주석의 혜안(慧眼)은 탁월했다. 시진핑 주석은 이를 어겼다. 비야디(BYD)에 이어 지커, 샤오펑, 창안자동차, 샤오미, 립모터 등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이 잇따라 한국 진출(進出)을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올해 1월 BYD코리아가 출범한 이후 BYD '아토3'는 1~4월 누적 553대를 기록해 안착(安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4월에만 543대가 팔려 월간 전기차 판매(트림 기준)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중국 전기차의 한국 진출은 생명줄이나 다름없다. 중국 내 과잉생산(過剩生産) 문제에다 관세 전쟁으로 세계 최대인 미국 시장이 막혀 있고, 유럽과 아세안·중동 시장 역시 위축되고 있는 탓이다. 한국 정부의 친환경 보조금(補助金) 정책을 잘 활용하면 '가성비'를 무기 삼아 충분히 성공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에 중국 시장 내 외국 자동차 업체의 점유율(占有率)은 2020년 64.3% 이후 2024년 상반기 43%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현대차 충칭 공장과 닛산 창저우 공장 등이 지난해 문을 닫았다. 그러나 관세 전쟁은 상황을 반전시켰다. 대안(對案)으로 여겨졌던 아세안·중동·유럽 시장이 더 이상 충분한 대안이 되지 못한 것이다. 비록 레드오션일지라도 연간 1천만 대가 넘는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차는 올 하반기 중국 시장만을 위해 개발한 맞춤형 첫 전기차 '일렉시오'를 선보인다. 일본 토요타·닛산·혼다 역시 '현지화'를 키워드로 세계 최대인 중국 전기차 시장의 경쟁에 합류한다. 한·중·일 전기차 대전이 불꽃 튈 전망이다. 관세 전쟁(關稅戰爭)의 여파를 잘 분석해 탈출구를 찾고 기회를 잡아 확대하는 생존 전략(生存戰略)이 무엇보다 간절한 시대를 맞고 있다. sukmin@imaeil.com
2025-05-15 20:03:46
[매일칼럼-석민] 삼권분립·국민주권이 무너진 나라의 희망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 팀이 최근 실시한 '정신건강 증진과 위기 대비를 위한 일반인 조사'에서 '장기적 울분 상태'의 국민이 54.9%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9.5%는 '세상이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동의하지 않았다. 울분(鬱憤)은 기본적 믿음이 예상에서 벗어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감정이다. 관점(觀點)에 따라 물병 속에 물이 50%밖에 없을 수도 있고, 50%나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사회적 현실을 고려할 때, 국민의 45% 정도가 '장기적 울분을 느끼지 않는다'는 사실이 오히려 충격적이다. 대한민국은 국민주권의 민주공화국(民主共和國)으로 인식되는 것이 상식이었다. 이를 위해 삼권분립(三權分立)을 통한 균형과 법치주의 및 결과의 정당성 못지않은 절차적 정당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상식·정의·공정이라는 우리 사회의 기본 가치 파괴에 정치권과 함께 헌법재판소를 포함한 사법부(司法府)가 가세했다는 점이 특히 국민들을 절망에 빠뜨리고 있다고 분석한다. '내 맘대로' 자의적 법 적용과 법치주의 붕괴는 곧 민주공화국의 파멸(破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국민주권은 형해화되고, 국민은 기득권(旣得權)을 '가진 자'의 실질적 노예 상태로 전락하게 된다. 국회의 다수 의석을 차지한 입법 권력을 무기 삼아 '특정 1인'을 위한 위인설법(爲人設法)을 일삼고, 30회가 넘는 마구잡이 탄핵소추와 예산 폭거로 행정부를 마비시켜도 '사법 이권 카르텔' 의혹을 받는 헌법재판소는 "권한 남용이 아니다"는 면죄부를 선사했다. 반면에 이 같은 반헌법적 반민주적 폭거를 막기 위해 헌법이 부여한 권한인 계엄령(戒嚴令)을 발동한 대통령은 파면되고 말았다. 헌재는 재판 과정에서 스스로 헌재법을 위반하고, 불법적 증거를 채택하는 등 막가파 'X판관'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생생하게 보여 주었다. 좌파 사법 카르텔로 의심되는, 또 권력에 주눅 들거나 빌붙은 비열한 판사들은 억지 논리로 '특정인'에게 잇따라 무죄와 재판 연기를 결정하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조차 사실상 무력화시켰다. 기세등등(氣勢騰騰)해진 정치권력은 이제 사상 최초의 대법원장 청문회 및 대법관 탄핵을 공공연하게 주장하며 삼권분립의 헌법 정신조차 무시하고 있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국민을 주권자가 아니라 하찮은 존재로 여기는 것은 국민의힘 지도부 역시 마찬가지라는 생각이다. 민주주의의 절차적 정당성을 존중하고 국민과 당원을 주권자(主權者)로 두렵게 여긴다면, 새벽에 '전당대회를 통해 당원과 국민들이 직접 뽑은 대통령 후보를 바꿔치기 하자'는 음모를 꾸미고 실행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결정하면 그대로 따라야지, 느그들이 뭔데…까불고 있어"라는 기득권의 오만함이 그대로 묻어 있다. 그들 역시 좌파 기득권과 마찬가지로 국민을 '표' 찍는 기계쯤으로 여긴 것이다. 반전(反轉)은 국민의힘 당원들의 대반란(大反亂)에서 시작되고 있다. 기득권의 음모를 부수고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김문수 대선 후보를 지지함으로써 '우리가 바로 느그들(정치권력) 주인이다'라는 선포를 한 셈이다. 이제 대선이 3주 앞으로 다가왔다. 국민들도 민주공화국을 지켜 내고 주인이 될 것인지, 아니면 기득권 세력의 하수인·노예로 살아갈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자신의 표를 야바위꾼들에게 강탈당하지 않는 것 또한 주인의 몫이다.
2025-05-12 20:09:53
초한전(超限戰: 한계가 없는 전쟁)은 중국이 한국 등 주변국을 속국(屬國)으로 만들기 위해 펼치는 사이버 여론 조작·선거 개입, 정치권·경제계·언론·대학·시민사회단체에 친중(親中) 세력 심기 등 전방위적 공세를 말한다. 뇌물·미인계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고 한다. 이제 대한(對韓) 초한전이 막바지에 이른 느낌이다. 서해 잠정조치구역(PMZ) 내 거대한 고정 구조물을 중국이 무단 설치한 것에 대해, 최근 우리 정부가 이전을 요구하자 중국 측은 "(남해) 이어도는 한국 소유가 아니다"는 적반하장(賊反荷杖) 주장을 했다. 사실상 침략을 멈추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중국은 '등가성 원칙'이라는 국제 규범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 인구가 많고 영토가 큰 나라는 그에 비례해 넓은 바다를 차지해야 한다는 억지를 부린다. 중국은 지난달 24일 필리핀 관할의 '샌디 케이 암초'를 침범하는 만행(蠻行)을 저질렀다. 놀라운 것은 필리핀의 반응이다. 무장한 필리핀 해안경비대·해군·해경은 암초에 상륙해 자국 영토임을 국제사회에 재확인했다. 자칭 대국(大國) 중국을 향해 한 방 먹인 것이다. 필리핀과 미국은 지난달 21일부터 발리카탄 합동군사훈련에 돌입했다. 필리핀은 더 이상 약소국이 아니었다. 관세(關稅) 전쟁 중인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지난달 14~17일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3국을 순방했다. 반미(反美) 공동전선 구축이 목표였다. 그러나 시 주석 귀환 후 베트남은 미국과 F-16V 전투기 구매에 합의했고, 말레이시아는 중국이 인수를 거부한 보잉 여객기 70대를 구매할 의사가 있다는 뜻을 미국에 밝혔다. "중국은 가장 신뢰하는 친구"라던 캄보디아조차 즉답을 피했다. 싱가포르 리콴유 전 총리의 맏며느리이며, 전 총리 부인이고, 전 세계 정상급 인사들이 맡는 중국 칭화대의 고문이기도 한 호칭 여사는 그동안 시 주석이 동남아 국가들에 행한 행동을 '조폭 대장'으로 비유한 칼럼을 리트윗하면서 엄청난 파문(波紋)이 일었다. 한때 여성 세계 영향력 3위에 오른 인물이기도 하다. 한국의 주권 수호 의지가 동남아 국가들보다 못하다는 놀림을 당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sukmin@imaeil.com
2025-05-01 19:56:04
2021년 비만 치료제 '위고비'를 출시하면서 세계 시장 1위를 장악해 온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가 위기를 맞고 있다. 후발 주자인 미국 일라이 릴리의 비만·당뇨병 치료제 '오포클리프론'이 3상 임상시험(臨牀試驗)에서 유의미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탓이다. 발표 직후 노보 노디스크 주가는 7% 빠졌고, 일라이 릴리는 14% 폭등했다. 빠르고 정확한 임상 결과 비결은 '개방적인 AI 전략'이었다. 일라이 릴리는 2~3년 사이 AI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 프로젝트 100여 개를 동시에 진행했고, 이를 위해 오픈AI·크리스탈 파이·아톱와이즈 같은 외부 AI 기업들과 제휴(提携)를 체결했다. 반면 노보 노디스크는 내부 AI 플랫폼 구축에 집중해 왔다는 분석이다. 신약 개발조차 AI 경쟁으로 바뀐 셈이다. 경북 구미에는 차세대 반도체 기판 'FC-BGA'(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를 생산하는 LG이노텍의 '드림 팩토리'가 있다. 축구장 3배 면적의 대규모 공장임에도 10여 단계 공정 모두 로봇 등을 이용해 무인화했다. 사람·불량·고장·안전사고 없는 4무(無) 공장이라는 설명이다. 모두가 AI 덕분이다. 제품 불량, 설비 고장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AI가 접목되어 있다. 이 분야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일본·대만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세계 최대 쇼핑 플랫폼 아마존은 차세대 쇼핑 AI 에이전트(비서) '바이 포 미'를 베타(시험) 버전으로 최근 공개했다. 아마존 앱에 있는 상품만을 탐색(探索)해 이용자들에게 알려 주던 기존의 '루퍼스'와 달리 '바이 포 미'는 아마존에 없는 상품까지 외부 사이트에서 찾아 주고 추천하며 구매를 도와 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아마존 같은 커머스 플랫폼들은 사용자 데이터를 AI에게 정밀하게 학습시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에 주력한다는 사실이다. 'AI가 나보다 나의 속내를 더 잘 알고 있는 세상'이 조만간 도래(到來)할 전망이다. 이젠 오히려 AI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어렵다. 내가 중심이 되어 AI를 나의 삶과 인간 세상에 유용하도록 잘 사용할 것이냐, 아니면 반대로 AI에게 나의 모든 일상(日常)을 조정당할 것이냐의 선택(選擇)만이 남은 것 같다. 인간다운 삶의 기준이 바뀔 수도 있다. sukmin@imaeil.com
2025-04-24 20:23:22
'상담역' '자문역' 등으로도 불리는 고문(顧問)은 월급쟁이들의 꿈인 대기업 임원이나 CEO(최고경영자)를 지낸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별한 혜택(惠澤)이다. 임기는 1년, 2년 정도이지만 경우에 따라 사무실과 비서·자동차(기사 포함)가 제공되는 데다 두 번 연임을 할 수도 있고, 기존 월급의 70~100%까지 보수를 받을 수 있었다. 평범한 직장인들의 눈으로 봤을 땐 그저 황공할 따름이다! 원래 이 제도는 1970년대 전후 고도성장기(高度成長期)가 끝나면서 물러나는 임원들의 경험을 살리자는 취지로 일본에서 시작됐다. 우리나라에선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한 지 1년 뒤인 1988년 말 삼성그룹에서 출발했다. 1990년 초반부터는 현대그룹, 선경그룹(SK그룹) 등 다른 대기업들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보편적(普遍的)인 제도로 자리 잡았다. 돌이켜 보면 1990년대 초반만 해도 평생직장(平生職場)이라는 개념이 강했고, 월급쟁이들의 기업 충성도 역시 엄청났다. 월급쟁이 주제에 '내가 곧 기업이다'라고 믿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고문 제도의 도입은 '퇴직 후에도 대우받는 임원이 되려면 더욱더 조직에 충성하라'는 메시지가 담겼을 가능성이 농후(濃厚)하다. '충성(忠誠)'에는 또 다른 의미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대기업 임원쯤 되고 보면 어쩔 수 없이 기업 경영상의 비밀이나 그룹 오너 일가의 활동에 대해 세세하게 알게 된다. 검찰의 주요 기업 수사 때 전직 임원들의 입에서 핵심 정보가 흘러나와 오너가 형사처벌(刑事處罰)을 받은 사례가 적지 않다. '고문'으로 마지막 순간까지 예우를 다하는 것이 배신(背信)을 막는 길이라고 여겼는지도 모른다. '의리'를 사훈(社訓) 격인 그룹 정신으로 강조해 온 한화그룹에서 지난해 말 계열사 대표의 퇴직 통보를 하면서 '고문 예우가 없다'는 인사 방침을 밝혀 충격을 줬다. 퇴직 예우 프로그램이 축소되는 것은 다른 그룹 역시 마찬가지이다. 기업 경영이 투명해져 퇴직 임원 입단속시킬 필요성이 적어진 탓도 없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더 큰 원인은 우리나라 경제계에 불어닥친 경기침체(景氣沈滯)와 대내외 불확실성(不確實性)으로 분석된다. "아, 옛날이여!" sukmin@imaeil.com
2025-04-17 19:56:40
다가올 대선(大選)의 변수(變數)로 '윤 어게인'에 주목한다. 2030 주도의 '윤 어게인' 집회·행진 참여 인원이 하루 만에 3배로 늘었다. 레거시 미디어의 의도적 무관심(無關心)과 좌파 매체의 극우(極右) 프레임 공작에도 불구하고 '윤 어게인'은 하나의 운동으로 자리 잡을 태세다. 9일 천주교·개신교·불교 등 종교계 인사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헌법재판소 대통령 파면 선고를 거부한다"면서 '어게인 윤석열'을 선언했다. '윤 어게인' 운동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옥중 편지 중 'RESET KOREA(리셋 코리아). YOON AGAIN(윤 어게인)!'에서 출발했다. "…결코 좌절하지 마십시오.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십시오. …힘냅시다!"라는 청년을 향한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가 불을 댕겼다고 할 수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의 압도적 우위 속 정국(政局)에서 기회주의적 중도·보수 성향의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래서 미래를 책임질 2030 청년과 강력히 결합하는 '윤 어게인' 운동이 민심(民心)의 쓰나미를 일으킬 때 비로소 보수·우파 후보의 경쟁력은 확보될 수 있다. 그렇다. 대규모 집회·외침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쓰나미여야 한다. 좌파의 한국 사회 헤게모니 장악은, 이탈리아 공산당 창시자인 안토니오 그람시의 '옥중수고'를 40년 이상 잘 추종한 덕분이다.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에 천착(穿鑿)한 그람시는 학교·종교·언론 등 시민사회에서의 진지전(陣地戰)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제는 사법부·헌재·검찰·경찰·군 등 국가 기관까지 침투해 확고한 진지를 확보했다. 전국적 탄핵 반대 목소리에도 민심이 무참하게 짓밟힌 원인이다. 할 일은 많고 시간은 없다. 기동전(機動戰)으로 승부해야 한다. 작은 파문에 그치는 고립(孤立)은 곧 죽음이다. '윤 어게인' 동참자들이 전국적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그 정신을 확산(擴散)시켜야 한다. 유튜브·SNS 등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대의(大義)를 위해 '내 주장'을 내려놓을 필요도 있다. 지도부의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간절하다. '윤 어게인'이 좌파 헤게모니를 휩쓸어 버리는 거대한 민심의 쓰나미를 몰고 올 수 있을까?
2025-04-10 20:20:42
[매일칼럼-석민] 자유시민 윤석열, 혁명은 이제 시작이다?
탄핵·파면에도 여전히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국민들에게 '인간 윤석열'이 가진 매력(魅力)은 뭘까 생각해 본다. 어쨌든 쫓겨나는 대통령의 지지율이 40~50%대의 고공 행진을 한다는 것은 무척 이례적이다. 나라와 국민을 생각하는 '진정성'을 첫 번째로 꼽을 수 있겠다. 그리고 다소 무모한 듯 보이는 '용기'와 현실을 받아들이면서도 결코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를 빼놓기 어렵다. 뜻밖의 탄핵 인용이 발표되던 날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합니다.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습니다"라는 담백한 메시지를 냈다. 현실을 수용하면서도 결코 불의에 굴복하지는 않겠다는 의지(意志)도 엿보인다. 6일 국민변호인단에게 보낸 "…청년 여러분, 이 나라와 미래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 오늘의 현실이 힘들어도 결코 좌절하지 마십시오. …청년 여러분께서 용기를 잃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는 밝을 것입니다. 저는 대통령직에서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습니다. 힘냅시다! 감사합니다!"라는 메시지에선 새로운 도전(挑戰)을 향한 결기마저 느낄 수 있다. 탄핵 정국을 좌·우 정치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것은 틀렸다는 생각이다. 종북(從北)·종중(從中) 좌파와 자유민주주의 수호 세력 간의 대립은 우리 정치의 상수(常數)에 불과하다. 대통령 탄핵은 오히려 여당 대표 한동훈의 배신에서 잉태되어 중도·우파 헌법재판관들의 우파 국민 배신으로 완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한때 보수·우파를 대변한다고 여겨졌던 기성 언론들이 좌파 매체들과 합세해 선전·선동과 왜곡에 앞장섰다. 보수·우파 내 친중(親中) 매국(賣國) 세력이 상당수 포진해 있고, 이들이 사익(私益)에 눈멀어 좌파의 음모에 가세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중요한 사실은 이들은 바로 우리 사회의 좌·우 기득권(旣得權)을 차지한 세력이라는 점이다. 윤 전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의 실질적 수호를 위해 좌·우 기득권 세력과 승산이 별로 없는 무모한 대결을 펼쳤다고 분석한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이 과정에서 12·3 비상계엄이 계몽령(啓蒙令)으로 바뀌면서 2030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많은 국민들이 각성하고 깨어났다는 사실이다. 기득권들에 의해 개·돼지, 붕어·가재·개구리로 취급받고 있는 국민들은 '자유시민'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우리 민족 5천 년 역사상 처음으로 '자유시민혁명'의 씨앗이 뿌려진 셈이다. 대한민국 사법부가 좌파 카르텔과 적지 않은 비겁·비열한 판사들에 의해 얼마나 타락하고 썩어 있는지도 생생하게 경험했다. 중공(中共)스럽고 괴기한 일부 대한민국 경찰·공수처·검찰의 행태와, 불투명하고 이상야릇하며 의심스러운 선거 시스템에는 눈감은 채 "부정선거는 없다"고 소리만 높이는 보수 참칭(僭稱) 정치인과 언론인의 역겨운 억지스러움도 목격했다. 국민 주권은 형해화되어 낡은 헌법의 글자로만 남아 있고, 화려하고 자랑스럽게만 여겨졌던 대한민국이 기둥 뿌리째 녹아내리고 있었던 것이었다. 이해관계(利害關係)로 뭉친 좌우 기득권의 벽은 높고 두텁다. 대통령으로 정치에 입문한 인간 윤석열이 탄핵·파면 이후 자유 시민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자유시민혁명을 이끄는 지도자로 어떻게 탈바꿈하는지 기대해 볼 만하다는 생각이다. 희망은 버리는 것이 아니라 키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2025-04-07 20:07:32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