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한국전력공사가 축산분뇨 고체연료화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 기관은 19일 경북도청에서 업무협약식을 갖고 축산분뇨 연료화 사업에 함께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 자리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김숙철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장, 김삼주 전국한우협회 대구경북지회장, 최재철 대한한돈협회 경북도협의회장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축산분뇨를 활용한 농업에너지 생산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추가적인 연구와 실증사업을 통해 축분 고체연료화 기술 향상과 현장 적용설비의 고도화가 이뤄질 것으로 양 기관은 기대했다.
양 기관은 축분 고체연료 인증을 통한 연료화 기술 개발, 농가 경영비 절감을 위한 경제성 분석, 기술 확대보급 정책 수립 및 지원방안 마련, 축분 고체연료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실증, 생산에너지의 농축산시설의 활용기술 등 다양한 연구과제 등을 수행한다.
이번 연구과제 수행에 내년부터 3년간 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공동연구기관으로는 경북도농업기술원, 경북도축산기술연구소,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이 참여한다.

경북도 축분 고체연료화 사업 기본 구상에 따르면 축산농가에서 생산된 수분 20% 이하의 축분가루는 가공공장에서 발열량 3천㎉/㎏ 이상의 펠렛연료로 전환된다. 고체연료가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면 축사시설, 시설하우스, 마을단위 소규모발전설비(2㎽급), 열병합발전소(10㎽이상) 등에서 열과 전기에너지로 활용된다. 연간 135만t(경북 분뇨발생량의 16.8%)의 축분이 37만t의 고체연료로 바뀌면 481억원 규모의 에너지 자원을 생산하는 것과 같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1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축산분뇨 처리 패러다임 전환 대책'을 수립하고, 현재 축분 고체연료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사업을 마련하고 있다. 기존의 퇴액비화 축분처리 방식으로는 악취, 수질오염, 토양 부영양화, 가축전염병 등의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