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정부 3년, 서울 6억이하 아파트 67.3%→29.4% 급감"

김상훈 의원 "서울에 서민이 살 수 있는 6억원 이하 집 거의 없다"

사진은 지난 20일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사진은 지난 20일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김상훈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상훈 국민의힘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서울시민의 내 집 마련 여건 급격히 나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이은 대출규제로 서민들이 목돈을 마련할 길이 완전히 막힌 상황에서 집값마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에서 매매가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절반 이상 사라진 반면 9억원이 넘는 아파트는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이 한국감정원의 '2017년 5월 ~ 2020년 6월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당시인 지난 2017년 5월에는 67.3%였으나 3년이 지난 2020년 6월 현재 29.4%로 급감했다.

반대로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2.5배 가량 늘었다. 아울러 15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또한 3.9%에서 15.2%로 확대됐다.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했던 아파트는 대폭 사라지고 기존 주택 또한 일반 서민은 거의 바라볼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오른 것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였다. 2017년 5월에는 그 비중이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 현재 8.9%로 급락(△66.0%)했다.

그 사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폭증했다. 3년 전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원 아래였지만 지금은 절반이 9억원대를 형성 중이다.

이른바 '마용성'으로 불리는 인기지역 상황도 마찬가지다. 마포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2020년 6월에는 6.1%에 그쳤다. 이에 반해 9억 초과는 7.1%에서 61.3%로 늘어났다.

성동구 또한 60.6%에서 2.4%(9억원 초과 5.0%⇒65.6%)로 줄었다. 한강변의 광진구도 53.9%에서 3.5%(9억원 초과 12.0%⇒68.3%), 동작구 역시 59.7%에서 4.5%(9억원 초과 2.0%⇒52.1%)로 줄었다.

김 의원은 ""지난 3년여간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모르겠다. 가히 '집값 폭탄'이 서울에 투하된 셈"이라고 지적하고"文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 오랜 기간 살아온 실거주민에게는'세금폭탄'까지 선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라리'무대책'이 집값 억제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라고 주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