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선도도시'로 꼽히던 대구시의 전기차 보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감한데다 보조금 예산도 바닥을 보였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1천500대의 전기차가 출고됐다. 지난해 출고한 4천600대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올 초 계획했던 6천대 보급 계획과도 한참 동떨어진 수준이다.
전기차 보조금도 바닥을 보였다. 대구에서 전기차를 사면 승용차 기준 대당 1천105만~1천32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받는다.
이 가운데 605만~820만원이 국비이고, 500만원이 대구시 예산이다. 국비 지원 몫만큼 시비가 뒷받침돼야하는 구조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로 시 예산이 부족해지면서 국비 예산을 시비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빚어졌다.
앞서 환경부는 전기차 보조금으로 국비 446억원을 대구에 배정했다. 차량 수로 따지면 4천대를 출고할 수 있는 예산이다. 이 경우 국비 지급에 따라 매칭해야하는 시비는 약 200억원이다.
반면 대구시가 올해 최대 가용할 수 있는 시비는 85억원이다. 받을 수 있는 국비는 1천700대를 보급할 수 있는 246억원이 최대인 셈이다.
이 같은 '국·시비 미스매칭'에 대해 대구시는 재정 여건 상 국비가 과다하고, 전기차 수요 감소로 국비를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타 지자체도 사정은 비슷하다. 환경부는 올해 전국적으로 6만5천대 보급을 목표로 했지만 3만대 보급도 어렵다는 게 자동차 업계의 전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에 이어 지자체 보조금 하락, 충전료 상승, 국산 신차 부재 등의 상황이 겹치면서 전반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주춤하다"라며 "내년에 현대·기아자동차가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첫 순수 배터리 전기차를 양산하면 사정이 조금 나아질거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