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경제성을 이유로 멀쩡한 원전은 폐쇄하면서 매년 1천400억원대 손실을 보고 있는 양수발전소 건설은 추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자근 의원(국민의 힘)이 한수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수원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영동, 홍천, 포천 등 3곳에 모두 1천850MW 규모(3조6천억원)의 양수발전소 신규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양수발전은 한수원 재정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모두 16호기의 양수발전소는 최근 5년간(2015~2019년) 연평균 1천408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적자 이유는 양수발전 일평균 가동시간이 채 3시간에 못 미치고, 발전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한수원은 정부의 '재생에너지3020'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양수발전소를 새롭게 지어야 할 상황에 놓여 재정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구 의원은 "단 한 번도 수익을 내지 못한 양수발전에 3조6천억원을 들여 신규 건설을 추진하는 게 타당한지 따져봐야 한다"며 "한수원이 문재인 정부 코드 맞추기에 급급해 연간 1천800억원 이상 손실이 예상되는 양수발전에 추가 투자한다면 결국 전기료 인상 등 국민 부담만 커지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