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현장실습을 나가는 대학생은 최저임금의 75% 이상을 임금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상해보험과 산재가입도 의무화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7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대학생 현장실습 제도개선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현장실습은 표준 현장실습학기제와 자율 현장실습학기제로 나눠서 운영하되 표준 현장실습학기제를 통해 현장실습의 운영기준과 절차, 양식을 표준화하고 실습에 참여하는 학생에게는 최저임금의 75% 수준을 지급해야 한다.
또한 대학과 실습기관이 상해보험과 산재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하고 실습기관이 기준을 위반하면 대학이 시정이나 실습 중단을 요구할 수 있다. 우수한 실습기관은 더 잘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 우수기업'으로 인증할 방침이다.
교육부의 이번 방안 마련은 그동안 '열정페이' 논란에 대해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
2018년 기준 14만5천221명의 대학생이 현장실습에 참여했지만 절반 가량인 55.5%인 8만580명이 30만원 미만의 실습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