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지난 7월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정책에 발맞춰 대구경북형 뉴딜 추진을 본격화한다. 대구는 '대구형 뉴딜 융합 특구' 등 5대 핵심 사업, 경북은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 밑그림을 내놨다.
대구시와 경상북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는 15일 대구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권영진 시장과 이철우 도지사, 김사열 균형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균형 뉴딜 포럼'을 열었다.
균형위 주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시와 도는 "지역 주도 뉴딜 정책을 통해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도심 융합 특구(대구형 뉴딜 융합 특구) ▷산업단지 대개조(최첨단 사마트 산단 조성) ▷통합신공항(K2) 후적지 개발 ▷스마트 물관리(취수원 다변화 등) ▷서대구 역세권 개발 등 대구형 뉴딜 5대 핵심 사업을 발표했다.
대구형 뉴딜 특구는 경북도청 후적지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연결하는 지구를 말한다. ▷산업 빅데이터 실증 ▷인력 양성 ▷기업 유치 등을 통해 대구형 뉴딜의 거점 공간으로 조성한다.
또 스마트 산단 조성 사업(총 사업비 8천813억원)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지역 10인 이상 공장 50% 이상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1천655개를 보급할 예정이다.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 조성에는 '대한민국 물 산업 실리콘밸리 대구'를 슬로건으로 1조5천782억원 투자, 1만2천5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경상북도는 이날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대응한 지역의 전략으로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에 지역 최대 현안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을 더한 개념으로 총 164개 과제에 12조3천900억원(통합신공항 사업비 제외)이 투입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행사에 참석한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에게 도청신도시 활성화를 위한 연계 사회간접자본(SOC)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건의했다. 이 지사는 "경북, 전남, 충남 등 3개 도청이 신도시로 이전한지 상당 기간 지났지만 활성화 수준은 미진하다"며 "도청이전특별법을 개정해 연계 SOC의 예타 면제 조항을 신설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 지사는 경북도청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문경~김천 내륙철도 건설사업 예타 통과 ▷문경~김천 내륙철도 연계 점촌~안동 간 철도 신설 ▷도청~신공항 도로 ▷도청~안동 간 건설사업 예타 면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통합신공항을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그린 뉴딜 기술이 결합된 한국판 뉴딜 대표 모델로 육성하겠다"며 "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충남·전남과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했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는 "지역 주도 뉴딜이 성공하려면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며 "특히 코로나 19 등으로 악화된 지역의 재정 여건을 고려해 정부-지자체 매칭 예산 비율 조정이 절실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