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 씨가 북한군에 사살당하기 전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었음에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국제상선통신망으로 북한과 의사소통이 가능했다. 결국 남북 군사통신 선로가 막혀 있어 어쩔 수 없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말은 거짓이었던 것이다.
지난 15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달 21, 22일 실종 공무원을 수색하기 위해 NLL(북방한계선) 가까이 접근했을 때 북한이 국제상선통신망으로 경고 방송을 했느냐"는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그렇다. '우리 군은 정상적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북한에 응답했다"고 대답했다.
또 이종호 해군작전사령관은 "북측이 국제상선통신망으로 일방적인 통신을 했고 이에 대응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하 의원이 "(북한 측 통신을 접하고) 우리 군이 북측에 실종자 관련 언급은 했느냐"고 묻자 이 사령관은 "아 그거는 없었다"고 했다. 결국 국제상선통신망을 이용해 구조 요청을 할 수 있었음에도 아예 하지 않은 것이다. 이런 군대가 존재할 이유가 있느냐는 회의를 불러일으키는 국민 보호 의무의 포기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전혀 딴소리를 했다. 지난달 28일 "이번 사건에서 가장 아쉽게 부각되는 것은 남북군사통신망이 막혀 있는 현실"이라고 했다. 그러나 국제상선통신망은 열려 있었다. 구조 의지가 있었다면 이를 이용해 구조를 시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서욱 국방부 장관도 마찬가지다. 서 장관은 지난 7일 국감에서 "해수부 공무원 실종 상황 당시 군에서 국제상선통신망을 통해 북측과 교신한 적이 있는가"라는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없다"고 했다. 17일 해군 수뇌부의 답변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하 의원이 해군 정보작전참모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도 "북한에서 국제상선공통망으로 북한 수역에 침범하지 말라는 통신이 있었으며, 우리 군은 '우리 해역에서 정상활동 중이다'라고 대응 통신을 하였음"이라고 돼 있다. 서 장관은 위증을 한 것이다.
문 정권은 사태 발생에서 결말에 이르기까지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 씨를 (자진) 월북으로 몰고, 북한과 교신을 의미하는 '대응 통신'을 했으면서도 하지 않았다고 거짓말까지 한 것은 그 책임을 모면하기 위함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