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호 카이스트 명예교수가 19일 대구를 찾아 로봇과 인간이 함께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날 오후 7시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 강좌에서 오 교수는 '포스트코 로나와 휴머노이드'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오 교수는 2004년 국내 최초의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한 세계적인 로봇 전문가다.
2016년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로부터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을 받았다.
2015년 미국 국방성 산하기관이 주최한 재난 대응 로봇경진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17년에는 오 교수가 개발한 탑승형 로봇 FX-2가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나서기도 했다.
오 교수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로봇 붐'은 다수의 로봇 기업 설립과 이들에 대한 투자로 이어졌고, 국내 대기업 다수도 수면 아래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스마트팩토리 확대 등을 통해 제조업 영역에서 사람을 대체하는 로봇의 움직임 등을 언급하며 향후 로봇 도입이 확대될 분야와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도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다만 스마트스피커, 안내 로봇, 수술 로봇, 군사용 로봇 등 다양한 로봇의 등장에도 로봇과 사람이 잘할 수 있는 일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의 자리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해석했다.
그는 사람은 직관을 통해 아주 미흡한 정보만으로도 순간적으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지만 로봇은 그렇지 못하다고 분석했다.
오 교수는 "어린이는 대여섯 살만 돼도 최소한의 정보만 가지고 이를 일반화할 수 있어 강아지와 고양이를 쉽게 구분하지만 인공지능(AI)은 두 동물의 차이를 찾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고 예를 들었다. 또 "AI에게는 세상의 모든 가능성을 다 알려줘야 맞힐 수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로봇이 가져올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지만 로봇이 잘하는 일과 사람이 잘하는 일은 구분되므로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로봇이 잘하는 일은 대체로 사람이 싫어하는 일들이고, 로봇이 못 하는 일들은 사람에게 적합한 일들"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로봇이 하기 적합한 일과 사람이 하기 적합한 일을 나누고 로봇과 함께하면 된다. 앞으로 사람은 로봇이 일하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주는 데 집중하면 로봇과 사람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