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전 협력업체 직원 피폭량, 한수원 직원보다 18배↑

송갑석 의원 국감서 핵발전소 방사성 피폭 외주화 지적

송갑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송갑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원자력발전소 협력업체 직원의 방사선 피폭량이 한수원 정직원보다 18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송갑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선 피폭현황' 분석한 결과 이같은 수치가 나왔다.

이 문제는 매년 국정감사 때마다 지적되는 것으로, 핵발전소 업무가 광범위하게 외주화된 데다 핵연료봉과 원자로 등 방사선 수치가 높은 관리구역에 협력업체 직원이 더 많이 출입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방사능 관리구역에 출입한 9만2천명 가운데 62%인 5만7천명이 협력업체 직원으로 파악됐다.

방사선 피폭량 분포에 있어서도 차이가 컸다. 최근 5년간 5mSv(밀리시버트) 이상 방사선 수치가 측정된 인원 2천520명 중 8명을 제외한 2천512명이 협력업체 직원이었다. 또 10mSv 이상 피폭된 635명은 모두 협력업체 직원으로 조사됐다.

한수원 측은 협력업체 직원 모두 원전노동자의 연간 피폭량 허용치인 50mSv를 넘지 않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을 비롯한 백혈병, 혈액암 등은 기준치 이하인 저선량 피폭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하다는 게 송 의원 측의 판단이다.

송갑석 의원은 "원전 노동자들은 항공운송업이나 방사선과 의료진 등 다른 방사선업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월등히 높은 방사능에 노출돼 있기 때문에 각별한 안전관리대책이 필요하다"며 "한수원은 방사선 피폭 안전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로 관련 업무를 이관하고, 원전노동자들의 생명안전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