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역사왜곡 '도 넘었다'…"6.25전쟁이 내전?"

외교가 "북한의 남침, 역사적 사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가 23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인민해방군의 한국전쟁 참전 70주년 기념 행사장에서 기립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가 23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인민해방군의 한국전쟁 참전 70주년 기념 행사장에서 기립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의 역사왜곡이 도를 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반미, 친중, 종복' 성향을 보이면서 중국의 오만이 극에 달하고 있고, 급기야 '6.25 전쟁을 비롯한 역사왜곡'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의 청년조직인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은 25일 한국전쟁에 대해 북의 남침이 아닌 내전이라고 주장해 물의를 빚고 있다.

이날 공청단은 '한국전쟁은 북한이 한국을 침략한 것인가?'라는 물음에 '아니다'라고 답하는 한국전쟁 관련 카드뉴스를 중국의 트위터 격인 웨이보에 올렸다.

이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한국전쟁을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맞서 북한을 도움)로 칭해 논란을 일으켰다. 시진핑의 중국은 문재인 정권의 '친중' 정책과 성향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과 배려'가 전혀 없다는 것을 직설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중국 공산주의청년단 역시 "당시 북한과 한국은 서로 한반도 전체에 대한 주권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 국가의 내전"이라고 말하면서, 북한의 남침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부정했다.

공청당은 또 "쌍방간에 군사적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했다"식으로 설명했다.

한편 공청당은 '항미원조 전쟁에 이겼나?'라는 물음에는 '이겼다'고 답했다.

공청단은 "항미원조의 기점은 압록강이었는데 세계1강국(미국)을 압록강에서 삼팔선으로 물리쳤다. 미국의 북한 전역에 대한 무력 점령 시도를 송두리째 부쉈다"고 주장했다.

최근 중국은 한국전쟁에 대해 역사적 사실 및 국제적인 인식과는 다른 주장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이런 중국에 대해 아무런 적극적 대응을 내놓고 있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 23일 '항미원조' 70주년 기념 연설에서 항미원조전쟁을 '미국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선 전쟁이라고 말했다. 이런 논리에서는 북한이 남침했다는 것이 말이 안되기에 중국이 뻔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세계 각 국의 외교소식통들은 "과거 유엔안보리 결의를 보더라도 한국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발발했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