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일본에 부임한 강창일 신임 주일 한국대사가 2015년 한·일 정부가 맺은 위안부 합의는 파기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일본 측과 기금 조성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강 대사는 이날 오후 도쿄 나리타(成田) 국제공항에 도착해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이 나를 대사로 임명한 것은 한일 우호협력, 관계 증진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며 "양국 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2015년) 위안부 합의가 파기됐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또 "화해·치유 재단이 해산한 것은 이사장이나 이사들이 사퇴해서 벌어진 일"이라며 "정부의 압력 때문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단 해산 후 기금이 남은 것을 거론하며 "양국 정부가 그 돈도 합해서 기금을 만드는 문제에 관해서 얘기해야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이날 '일왕' 대신 '천황폐하'라는 표현을 써 이목을 끌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일본 정부의 방역 기준에 따라 2주간 대사관저에서 격리한 후 활동을 시작한다"며 "먼저 천황폐하에게 신임장을 제정(제출)한 후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 및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 등과 만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일왕을 천황으로 격상해 호칭한 것은 자신에 대한 일본 일부 언론들의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강 대사는 이전 한 라디오 방송에서 일본 왕의 호칭에 대해 "한국에서는 '일왕'이라고 부르자"고 발언한 적이 있다. 일본 산케이 신문 등은 이 발언을 문제 삼으며 그의 대사 임명을 비판해왔다.
일본은 현재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세계 30여개 왕국 중 유일하게 자국 왕실을 황실(Imperial family)로 호칭하고 있다. 나루히토 일왕의 일본 내 공식 호칭은 텐노(天皇·천황) 서구권에서도 황제를 뜻하는'emperor' 호칭으로 불리고 있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새로 부임하는 강 대사를 면담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높다. 한국 법원의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불만에 따른 셈이다.
강 대사는 "아직 일정은 잡혀있지 않다"며 "지금 워낙 한일관계가 꼬여있어서 마음이 좀 무겁다"며 "토론할 것은 토론하고, 협상할 것은 협상하고, 협력할 것은 협력해 나가야겠다고 생각한다"며 사안별로 분리해 대응하겠단 뜻을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