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4일 고위공무원의 주택임대사업 규제를 또 한번 강조했다.
4급 이상 공무원 실거주외 주택처분 권고 및 인사반영 등 부동산정책을 추진하는 경기도가 최근 도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도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임대사업자 겸직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았다.
이 지사는 24일 페이스북에 "부동산 임대사업은 상식적으로 영리행위인데 이걸 영리행위가 아니라며 허용하고 있는 게 이해되느냐.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위공직에 부동산으로 돈벌려는 사람은 못가게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공직을 이용해 돈을 버는 것은 중대범죄고, 공직자의 영리행위는 법률상 금지됐다. 국민 혈세로 생계유지 및 평생 연금, 공무원의 노후보장도 청렴결백한 공직생활을 전제로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직을 하든지 사업을 하든지 선택해야지 사업가가 공직자를 겸해서도 공직자가 사업가를 겸해서도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부동산투기 안하고 공복 역할 잘할 사람은 얼마든지 있으니 고위공직에 임용하거나 승진시킬 때 필수용 외 부동산 소유자는 배제하거나 백지신탁시켜 매각하는 부동산백지신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경기도민 절대다수는 고위공직자가 주택임대사업을 겸하는 데 대한 설문조사에서 도민 70%가 고위공직자 부동산 임대사업자 겸직금지 방안에 대해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도에 따르면 지난 16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부동산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에서 검토 중인 4급 이상 공무원들에게 부동산 임대사업자 겸직을 금지시키는 방안에 대해 응답자의 69%가 '고위공직자는 부동산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치'라고 응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주택 소유 여부나 이념 성향 등에도 관계없이 과반으로 조사됐다.
반면, '개인에 대한 과도한 재산권 침해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조치'라고 응답한 사람은 26%로 낮게 나타났다.
도가 부동산정책 추진을 잘하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도민의 52%가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조사결과보다 4%p 증가한 수치다. '잘못하고 있다'는 37%였다.
경기도는 외국인·법인 대상 토지거래허가제를 비롯해 기본주택과 분양형 기본주택, 4급 이상 공무원 실거주외 주택처분 권고 및 인사반영 등 부동산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6일 만 18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 ±3.1%p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