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사망 위험 35% 이상 더 높다

영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4차 유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5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에서 방역복을 입은 해외 입국자들이 임시 격리시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4차 유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5일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에서 방역복을 입은 해외 입국자들이 임시 격리시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전 세계에 퍼지고 있으며 국내에도 유입된 영국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기존 코로나19 감염과 비교해 사망 위험이 35%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이토통신 등 외신은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연구팀이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인용, 이 같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 동안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약 100만명 사례를 추적, 이 가운데 사망한 약 3천명의 사례를 언급했다.

이에 따르면 54세 이하 연령대의 경우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와 기존 바이러스 감염자 간 치명력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령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됐다.

70~84세 감염 남성의 사망 위험도는 변이 바이러스가 6.1%, 기존 바이러스는 4.7%였다.

85세 이상 감염 남성의 사망 위험도는 변이 바이러스가 21.7%, 기존 바이러스가 17.1%였다.

70~84세 감염 여성의 사망 위험도는 변이 바이러스가 3.7%, 기존 바이러스가 2.9%였다.

85세 이상 감염 여성의 사망 위험도는 변이 바이러스가 16.4%, 기존 바이러스가 12.8%였다.

이를 두고 연구팀 니콜라스 데이비스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 감염시 기존 바이러스 감염시보다 평균 35% 이상 사망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앞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기존 바이러스와 비교해 감염력은 최대 70% 이상 높을 수 있지만, 치명력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영국 정부 분석 결과가 나온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둘 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