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인 반대 속 진행된 추모행사…유족 "대구시 책임"

경찰 사이에 두고 상인 반대집회와 유족 추모행사
주최측 "상인과 유족에게 각각 다른얘기 한 대구시 책임"

대구 지하철 참사 18주기인 18일 오전 대구 동구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희생자 유가족과 참석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지하철 참사 18주기인 18일 오전 대구 동구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희생자 유가족과 참석자들이 헌화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추모행사가 팔공산 상인들의 반대 집회 속에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이하 테마파크)에서 진행됐다. 상인들은 테마파크의 추모공원화를 반대하고 나섰고, 유족들은 상인과 갈등조정을 하지 못한 대구시를 성토했다.

2·18안전문화재단은 18일 테마파크에서 추모행사를 열었다. 2003년 화재 참사 시각에 맞춰 오전 9시53분 시작된 행사에는 희생자 유가족뿐만 아니라 인근 상인과 경찰 등이 모였다.

길게 늘어선 경찰 기동대 3개 중대를 사이에 두고 한쪽에서는 참석자의 추모사가, 반대쪽에서는 상인들의 반대 구호가 울렸다. 상권 위축을 우려한 인근 상인의 반대와 유골이 있는 곳에서 행사를 해야 한다는 유족 의사가 부딪혔다.

이날 상인들은 행사 마지막 식순인 헌화가 예정된 탑 형태의 조형물에 현수막을 내걸고, 유족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현수막에는 '테마파크를 추모공원으로 만들지 않겠다'는 대구시 공문 내용이 적혀 있었다.

2019년 유족과 팔공산 상가연합회가 상생하겠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낸 지 2년 만에 다시 갈등이 되풀이된 것이다.

김경환 팔공산 상가연합회장은 "2019년 공동성명 발표 당시 행사 주최 측인 2·18안전문화재단은 상인과 협의 없이 행사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면서 "최근에는 아예 테마파크에 2·18 기념공원이라는 이름을 병기하자는 청원서까지 제출했다.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 무산으로 좌절한 상인들은 배신감을 느낀다"고 했다.

유족과 주최 측은 테마파크 건립 당시 대구시 행정이 상인들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고 주장했다.

김태일 2·18안전문화재단 이사장은 "대구시는 유족과 상인들에게 서로 다른 기대를 갖도록 했다. 상인들에게는 추모시설이 아니라고 말하고 유족에게는 결국 추모시설이 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며 "올해 내로 상인들의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추모 행사에 참석한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상인과 유족 간 갈등은 해결해야 할 일이지만 워낙 오랜 문제"라며 "당장 뾰족한 대책을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