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낙동강 수계 취·양수장 시설개선 못박기를 위한 중대한 전진을 했다.
낙동강 유역 물 관리 종합계획 등을 담당하는 유역물관리위원회회에서 시설 개선안이 의결·통과됐기 때문이다.
11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달 19일 서면 회의를 열고 낙동강 수계 취·양수장 시설개선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유사 시 낙동강 보 개방을 위해 취·양수장 시설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는 홍수, 오염물 유출 등 사고 시 취·양수장 취수구가 드러나는 문제 탓에 보 완전 개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개선안에는 낙동강 수계 취·양수장 시설개선을 위한 조치계획 수립, 정부·지자체 등 역할 등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에서 40여 명 위원 중 이철우 경북도지사만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냈고 기권 몇 표를 제외한 모두가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주민여론 수렴을 전제로 조건부 찬성 의사를 밝혔다.
다수 위원이 비상 시 보의 탄력적 개방을 위한 취·양수장 시설개선 명분에 공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경북에서는 취·양수장 시설 개선이 보 철거를 위한 사전수순이라는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지역 농민단체 등의 반대 여론도 여전히 높다.
이를 의식한 듯 낙동강유역위는 개선안에 보 철거와 무관하다는 단서 조항을 명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개선안 의결 결과를 각 관계 기관에 공문으로 보내며 비공개 문서로 지정, 보안에도 힘을 쏟고 있다.
향후 개선안이 국가물관리위원회를 통과하면 정부 계획으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에 앞서 주민공청회 등 여론 수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결안 비공개 등 깜깜이 진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국가물관리위 통과 시 취·양수장 시설개선 못박기 논란도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낙동강 수계 130여 개 취·양수장 시설의 영구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수천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경북의 한 공무원은 "현 정부가 공약으로 4대강 보 처리방안 마련을 내세웠던 만큼 취·양수장 시설 개선의 국가계획 반영을 성과로 내세우려는 게 아니냐"면서 "막대한 예산, 사업 추진 과정의 갈등 등을 차기 정부로 미루는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