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속도 5030이 뭐죠?"
이달 17일부터 도시지역 중 주거·상업·공업지역 내 모든 일반도로의 최고속도를 별다른 속도제한 표지가 없다면 매시 50㎞로 제한된다. 주택가 생활도로, 학교 주변, 주요 상업지 주변에서는 보행자 안전을 특별히 강조한다는 차원에서 시속 30㎞를 제한속도로 한다. 이를 이르는 말이 '안전속도 5030'이다.
이 정책은 한국의 전체 교통사고 82%, 보행자 교통사고 92%가 도시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국내 교통환경을 주목해 만들어졌다.
한국 도시부 도로의 제한속도는 그동안 높게 설정돼 있었다. 별도의 제한속도 표지판이 없다면 시속 60㎞가 제한속도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이렇게 높은 제한속도를 운영하는 경우는 한국이 유일하다시피 하다. 한국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
한국 전체의 교통사고 사망자 중에서 도시부 도로 사망자 수 비중이 높은 이유가 제한속도 60㎞와 무관하지 않다. 이 때문에 덴마크, 독일, 호주, 헝가리 등 유럽을 중심으로 1970년대부터 도시부 차량 속도를 시속 50㎞로 하향하는 정책이 시작됐다. 이후 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 감소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해외 전문가 연구에 따르면 시속 60㎞ 주행 중 차량과 보행자가 충돌할 경우 보행자 10명 중 9명이 사망하지만 이를 시속 50㎞로 낮추면 보행자 10명 중 5명만 사망(중상 가능성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속 30㎞인 경우는 보행자 10명 중 1명이 사망하는 등 속도와 사망률은 비례했다.
이는 도시부 도로에서 '5030 속도관리'가 교통안전에 크게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UN과 WHO도 이런 점에서 '도시부 차량속도 시속 50㎞' 적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 47개국에서 이를 적용하고 있다.
정부가 2017년 서울 종로, 부산 영도 등 전국 68개 구간에 대해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시범 운영한 결과 전체 교통사고 건수 13.3%,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 63.6%, 사고로 인한 치사율 58.3%가 낮아졌다. 이렇게 제한속도를 줄여도 통행시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종합해보면 자동차 속도를 낮춰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진다.
한국은 고도 경제성장을 자랑하면서 교통정책에서 보행자의 안전보다는 자동차의 원활한 소통을 먼저 생각한 게 사실이다. 이제는 좀 천천히 가더라도 안전한 도로, 보행자가 자동차보다 먼저인 도로, 교통사망사고 없는 도로여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절실한 시점이다.
포항만 해도 하루 평균 60~70대의 자동차가 신규 등록하는 상황으로 한정된 도로에 자동차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 속에 남구지역에서는 지난 한해 27명이 교통사고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이제 곧 한국도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시작하면 교통사고는 물론 이로 인한 사망자도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갖는다. 차 속도가 조금 줄더라도, 교통 흐름이 이전보다 답답하게 느껴지더라도 짜증내기보다는 '차에서 내리면 나도 보행자'라는, 사람이 우선이라는 분위기가 정착되길 기대해 본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