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산 오가는 확진자, 행정구역 달라 방역 '비효율'

검사 소재지 위주로 '확진자 통계' 잡혀…실제 생활·거주지역 다른 경우 다수
의료기관 소재지 기준으로 집계…역학조사·동선 추적 효율성 저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00명대를 기록한 16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해외출국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00명대를 기록한 16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해외출국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인접한 생활권인데도 행정구역이 달라 방역 관리가 비효율적으로 이뤄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검사를 받은 의료기관 소재지 기준으로 확진자 수가 집계되는 탓에 대구와 경북 경산처럼 생활 반경이 겹치더라도 방역 관리가 분리돼 동선과 접촉자 추적 등에 차질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17일 경산시 보건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경산시 확진자 934명 중 다른 지역 거주자는 62명이다. 경산시 소재 의료기관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인원으로, 실거주지는 대구시 등 다른 지역이지만 통계상에는 '경산시' 확진자로 잡힌다.

특히 최근 대구 외곽지 다중이용시설에서 집단감염이 일어나면서 대구 거주자들이 경산에서 검사받고 경산 확진자로 보고되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달 종업원 10명 중 7명이 감염된 동구 소재 식당의 경우 당시 식당 방문자 180여 명이 경산시 보건소에서 대거 검사를 받았다. 동구 신서동에 식당이 있어 가까운 경산시 보건소로 간 것이다.

누적 확진자 15명이 발생한 중구 소재 사무실도, 최초 확진자 A씨가 경산시 보건소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A씨가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 근처에 살아 수성구 보건소보다 가까운 경산시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것이다.

최근에는 고령산업단지(고령 산단) 외국인 종사자들이 대부분 고령군에서 검사를 받았지만, 실제 거주지가 대구인 확진자가 다수 확인됐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추가 역학조사나 방역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달 초 대학생 지인모임 집단감염 당시, 대구시는 대구권 대학 12곳에 한해 현장점검을 벌였다. 지난 9~15일엔 주요 대학 2곳(경북대, 계명대) 인근 식당 종업원에 한해 진단검사 비용을 지원했다. 하지만 당시 확진자는 모두 9곳 대학에서 나왔고, 지역도 대구뿐 아니라 경산과 구미 등 인접 시도에 걸쳐져 있었다.

경북 한 보건소 관계자는 "확진자 발생 통계가 검사 소재지인 경북도로 잡히면 마치 우리 지역에서 관리를 못해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듯 보인다. 확진자 통계 수치를 맹목적으로 바라보지는 않아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