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 "내부정보로 '땅투기' 구속수사 추진"…공무원·공공기관 71명 수사선상

수도권 신도시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전북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가 2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북지역본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신도시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전북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가 2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북지역본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김창룡 경찰청장은 22일 "내부정보 부정이용 등 공직자의 지위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행위는 구속 수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서면으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3기 신도시뿐만 아니라 여타 지역의 각종 개발사업 관련 (LH 등의) 부서 직원과 그 가족의 차명거래까지 면밀히 확인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청장은 현직 경찰이 세종시 스마트산업단지 예정 부지 땅을 매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세종경찰청에서 내사 중"이라고 밝혔다. "투기 혐의가 확인되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중심이 된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투기 의혹으로 내사·수사 중인 사건은 61건·309명이다. 이 가운데 3기 신도시와 관련된 사건은 23건·81명이다.

내사·수사 대상은 공무원 41명·공공기관 31명·민간인 170명·신원 확인 중인 대상 67명이다.

대상자 309명에는 지난 19일 정부 합동조사단이 수사 의뢰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지방공기업 직원 23명은 포함되지 않았다.

특수본은 3기 신도시인 광명에서 투기로 의심되는 토지 거래를 한 것으로 드러난 대통령 경호처 직원 1명에 대해서도 수사할 예정이다.

최승렬 수사국장은 309명에 장·차관 등 고위공직자가 포함됐느냐는 물음에 "언론 보도나 고발 등이 있는데, 고발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고 답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