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상장사 4곳 중 1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 기업 1천17개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천76조1천억원으로 2019년 1천93조원 보다 16.9조원(-1.5%) 감소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19년 53.9조원 보다 24.9% 증가한 67.3조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장사 4개 중 1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기업 수는 2019년 249개에서 2020년 255개로 6개 늘어났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산업의 이익률이 개선된 것으로 다른 분야 기업들의 경우 매출 감소와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영업이익 증가가 코로나 수혜업종과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양극화가 거세졌다. 상장사 매출액 5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지난해 304.9배로 확대됐다.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지난해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한 반면 유통 및 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등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