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폭등에 맞물려 관리비마저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관리비가 5년 전과 비교해 12% 상승했다.
2015년 ㎡당 월평균 2천104원이었던 관리비가 지난해 2천350원으로 국민주택규모인 전용면적 85㎡ 기준으로 환산하면 17만 8천840원에서 19만 9천750원으로 11.7% 상승한 것이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5.42%)의 2배를 넘는 수준이다.
국민주택규모 기준 지난해 월평균 관리비가 가장 비싼 곳은 서울(22만 7천885원)이었고, 가장 싼 곳은 광주(16만 6천685원)로 나타났다. 대구(18만8천955원)는 전국 평균보다 1만원가량 낮았다.
관리비 가운데 공용관리비가 가장 많이 올랐다. 2015년 ㎡당 894원에서 2020년 1천109원으로 24% 급등했다. 특히 공용 관리비 중 청소비(47.4%)의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수선유지비(27.3%), 제사무비(23.7%) 등의 상승폭이 컸다. 제사무비는 일반사무용품비, 도서 인쇄비, 교통통신비 등 관리사무에 직접 드는 비용을 말한다.
반면, 이 기간 관리비에 포함된 개별사용료는 1천85원에서 1천56원으로 2.7% 하락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청소비와 수선유지비는 최저임금 인상분 반영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원인으로 보인다. 전체 관리비에서 공용관리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커지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서울에서는 용산구가 28만 8천405원으로 가장 높았고, 동대문구가 18만 8천360원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 평균(22만 7천885원)보다 관리비가 비싼 곳은 용산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마포구, 광진구, 노원구 등으로, 2.9~26.6% 더 높았고 동대문구, 금천구, 구로구, 관악구, 강북구, 성북구 등 6개 자치구는 전국 아파트 평균 관리비(19만 9천750원)와 비교해도 0.2~5.7% 저렴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소비자들이 아파트 관리비 집행의 적정성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이다. 정부는 소비자들이 구체적인 아파트 관리비 운영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을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