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金 "3석으로 무슨 야권?" 安 "합당한 대우를"…야권 통합 '동상이몽'

4·7 재·보궐선거 압승한 야권, 내년 대선 겨냥한 주도권 다툼 치열
김종인 "국민의당의 무슨 야권! 국민의힘 자생력 갖는 정당 돼라" 요구
야권 합종연횡 과정서 '큰 집' 노릇 하려는 국민의힘과 통큰 양보 얻어내려는 세력 간 수 싸움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

4·7 재보궐 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당선이 확실해진 8일 자정께 서울 여의도 당사 국민의힘 개표상황실에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
4·7 재보궐 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당선이 확실해진 8일 자정께 서울 여의도 당사 국민의힘 개표상황실에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양석 사무총장(오른쪽)과 국민의당 이태규 사무총장이 지난달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서울시장 야권 단일화 후보 발표를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양석 사무총장(오른쪽)과 국민의당 이태규 사무총장이 지난달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서울시장 야권 단일화 후보 발표를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 연합뉴스

4·7 재·보궐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야권이 내년 3월 치러질 제20대 대통령선거를 겨냥한 정계개편 초입부터 날 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후보 단일화과정에서 통합에 합의한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약속이행을 논의하고 있지만, 주도권 다툼으로 밀고 당기기가 한창이다.

'정계개편은 제1야당을 중심으로'를 외치고 있는 국민의힘은 국민의당과 '어떻게' 합치느냐를 두고 고민이 깊다. 자칫 첫 단추를 잘못 꿸 경우 향후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끌어안기를 포함한 정계개편 전반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의 합종연횡 과정에서 이른바 '큰 집' 역할을 하겠다는 제1야당과 그런 국민의힘을 상대로 통 큰 양보를 얻어내려는 윤석열·안철수 지지세력 간 치열한 수 싸움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장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측은 "안 대표가 이끈 단일화 시너지효과로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며 합당한 대우를 국민의힘에 요구했다.

안 대표의 '복심'인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비례)은 지난 9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처음부터 단일화의 판을 만들고, 키우고, 끝까지 지켜서 완성한 사람은 안 대표였다"며 "야권의 승리 요인은 안철수라는 견인차와 문재인 정권의 무능과 위선에 따른 반사이익"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이번 재·보선은 누가 뭐래도 '제1야당'이라는 배경이 주된 바탕이 된 승리로 향후 야권 통합 과정도 국민의힘 중심의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주호영 국민의힘 대표권한대행(대구 수성갑)은 지난 8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기득권을 내려놓고 국민의힘을 야권 대통합의 플랫폼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칼자루는 국민의힘이 쥐는 분위기다. 제1야당의 틀 안에서 힘을 모으자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정치일정은 예정대로 밀어붙이는 중이다. 야권의 다양한 정치세력을 향해 '따라올 테면 따라오라'는 사인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 8일 자연인으로 돌아간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사실상 '국민의당 배제론'을 주장하며 '제1야당 자강론'을 역설했다.

김 전 위원장은 1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국민의당은 비례대표 3석뿐인 실체가 없는 정당인데 무슨 놈의 야권인가! 국민의힘은 바깥을 기웃거리지 말고 내부를 단속해서 자생력을 갖는 정당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선 국민의당과의 통합에 너무 많은 당력을 쏟아서는 안 된다는 경계론이 확산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정권교체를 위해 앞으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보수성향 정치세력도 끌어안아야 하는데, 국민의당과의 협상에서 너무 많은 지분을 양보하면 '다음'이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