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을 심판한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민심(民心)을 문재인 대통령이 수렴할 것으로 국민은 기대했다. 부동산과 탈원전을 비롯해 실패한 경제·외교·안보 정책을 바꾸고, 능력과 적재적소 인사로 내각과 청와대를 개편하는 등 국정을 쇄신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이번에도 문 대통령은 국민 기대를 외면했다.
문 대통령은 국무총리에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명하고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해양수산부 장관을 바꿨다. 청와대 정무수석에 이철희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임명하는 등 청와대 일부 개편도 했다. 김 전 장관을 총리로 발탁하고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유임시킨 것은 대구경북에 대한 인사 배려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번 내각 개편은 전반적으로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정책은 그대로 둔 채 몇몇 얼굴만 바꾼 땜질 인사에 그쳤기 때문이다. 경제 정책 실패 총책임자인 홍남기 경제부총리를 유임시켰다. 국토부 장관은 바꿨지만 부동산 정책 기조는 유지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의 내각·청와대 개편과 궤를 맞춘 듯이 민주당 원내대표에는 친문 핵심 윤호중 의원이 선출됐다. 보궐선거 패배 이후 당 안팎에서 '쇄신론' '친문 2선 후퇴론' 등이 제기됐지만 친문이 그대로 자리를 차지했다. 국회 운영과 입법 폭주에서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내각·청와대 개편과 민주당 원내대표 선출 결과는 문 대통령과 민주당이 민심에 둔감(鈍感)한 결과다. 선거에서 정권 심판을 받고서도 쇄신 없이 실패한 국정 기조를 밀고 나가고, 힘을 앞세운 독주를 계속하겠다는 뜻이 표출됐다. 문 대통령은 남은 임기 역시 난맥상을 보여온 정책 기조를 고수하겠다는 고집을 버리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평가가 정권 출범 후 가장 낮은 30%를 기록했다는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부정평가는 62%를 기록해 처음으로 60%대를 넘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31%)보다 더 낮아 임기 말 레임덕 현상이 가속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과 민주당이 생각을 바꾸지 않고 정책을 전환하지 않으면 국정은 위기에서 탈출할 수 없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과 민주당은 요지부동이다. 나라의 앞날이 걱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