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0만개 이미 사용…'이물질 발견' 백신 주사기 뒤늦게 수거중 '70만개 분량'

"인체 혼입 가능성 낮아" 논란 확산 차단

광주 전체 자치구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 시행된 15일 오전 광주 북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의료진들이 화이자 백신을 주사기에 나눠담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광주 전체 자치구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 시행된 15일 오전 광주 북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의료진들이 화이자 백신을 주사기에 나눠담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정부가 배포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용 '최소 잔여형(LDS)' 주사기에서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잇따르면서 보건당국이 접종 현장에서 주사기 70만개를 수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17일 "주사기 내에서 이물이 발견됐다는 신고 21건이 들어와 제조사에서 선제적으로 수거 조치 중이며 이번 주까지 주사기 70만개를 수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거 예정 물량 중 63만개는 전날까지 수거가 완료된 상태라고 질병청은 전했다.

질병청은 오는 7월 말까지 D사에서 2천750만개, S사에서 1천250만개 등 LDS 주사기 총 4천만개를 납품받기로 계약해 현재 접종에 쓰이고 있다.

이물 신고와 관련된 주사기는 D사의 제품으로, 이 회사가 납품한 주사기 가운데 50만개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에 이미 쓰여 회수가 불가능하다.

질병청은 주사기 이물과 관련된 '이상반응'은 보고된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접종 전에 주사기로 주사약을 뽑는 과정에서 간호사들이 육안으로 이물을 확인했기 때문에 이물이 든 백신을 접종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본다"며 "현재로서는 이 주사기로 접종 받은 사람들에 대한 안전성 조사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물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제조소 작업자의 복장에서 떨어져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섬유질로 추정된다.

권오상 식약처 의료기기안전국장은 "물질 자체의 위해성도 낮고, 백신에 혼입돼서 주사기의 얇은 바늘을 뚫고 인체에 침투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D사 제조소를 점검하고 업체에 시정과 예방 조치를 하도록 했다. 또 LDS 주사기를 생산하는 모든 제조업체에 대해 품질 지원팀을 파견해 기술 관리와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