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 이건희 미술관 청사진 제시, 정부는 공정히 평가하라

대구시가 '국립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위한 구체적 건립 계획 및 향후 발전 방안을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건희 미술관 건축비 전액 대구시 부담(시비 및 시민 성금), 이건희 헤리티지 센터 건립, 이건희 미술관과 대구가 지닌 삼성의 역사 공간 및 스토리와 연계 계획, 이를 통한 이건희 철학과 삼성 도전 정신의 계승·발전·확산 청사진을 제시했다. 권 시장은 또 "대구 시민과 미술계의 열망인 이건희 미술관 대구 건립을 위해 모든 네트워크와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 시장이 직접 나서서 중앙정부에 시민의 뜻을 전하고, 서명운동과 모금운동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대구시가 가장 먼저 '이건희 미술관' 공식 유치 제안 및 청사진을 밝힌 것은 이건희 미술관 대구 건립 당위성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 이건희 컬렉션 및 이건희 정신의 계승, 발전, 확장 면에서도 대구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는 '세계적 컬렉션'을 우리가 갖고 싶다는 지자체의 평범한 욕심을 넘어 '대구가 가장 잘할 수 있기에 대구가 맡겠다는 사명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대구 시민들의 강력한 유치 희망 역시 욕심을 넘어 사명감임을 시민들을 만나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대구시는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필요한 역사 자산, 의지, 투자 계획, 발전 방안 등을 제시했다. 앞으로 다른 지자체들도 각자의 청사진을 밝힐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각 지자체의 구체적 계획과 근거 등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 건립지를 선정할 의무가 있다. 안이하고 퇴행적인 수도권 중심 사고, 당장의 접근성만 생각하는 근시안, 과열 경쟁이 우려되니 경쟁 자체를 없애겠다는 비논리로 이건희 미술관 입지를 내부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 그런 태도는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나선 각 지자체에 대한 농락이다. 대구시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들이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문체부도 최적 입지를 선정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의무가 있다. 공정하고 공개적인 입지 선정 절차 없이는 수긍도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