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가 고위급(4급) 인사에 도입한 개방형 직위 공모제(매일신문 4월 6일 자 9면)가 잇따라 실패하면서 인사 난맥상이 도마 위에 올랐다.
14일 구미시에 따르면 최근 구미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갈등을 빚었던 A 기획경제국장(매일신문 6월 10일 자 9면)이 8개월 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구미시는 지난해 10월 지역 경제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개방형 직위 공모로 A국장을 임용했다. A 국장의 임기는 내년 10월11일까지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경제 회생을 내걸고 개방형 직위 공모를 통해 A 국장을 임용했지만 공무원 및 시의원들과의 소통이 이뤄지지 못하고 잡음만 터져 나왔다.
A 국장은 임용 초기에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스마트산업단지 조성과 상생형 구미 일자리사업 등 미래 먹거리 사업에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밝혔지만, 8개월이 지나도록 뚜렷한 성과물을 내놓지 못했다.
게다가 이달 3일 열린 구미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시의회와의 소통 문제를 지적한 시의원에게 "상(喪)을 당했을 때 갔다 오지 않았냐"는 답변을 해 논란이 일었고, 급기야 구미시의회가 행정사무감사를 보이콧하는 사태를 초래했다.
앞서 구미시는 2018년 8월 경북 지자체 중 처음으로 기업인 출신을 정책보좌관으로 영입하는 실험을 단행했다. 대외 소통력 강화와 함께 침체된 구미 경제 활성화를 위한 특화전략을 펼치겠다는 장 시장의 의지가 담긴 것이다.
하지만 B 정책보좌관은 임기 1년 만 채우고 물러났다. 이후 채용된 다른 정책보좌관 역시 1년만에 그만두고 말았다.
개방형 직위 공모제가 잇따라 실패하면서 오히려 연간 수억원의 예산을 낭비하고, 시 공무원들의 승진 기회를 빼앗는 결과만 초래했다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구미시의회 한 의원은 "개방형 직위 공모제가 인사 시험대도 아니고, 제대로 된 검증 절차도 없었다. 캐나다 국적의 A 기획경제국장은 16년간 해외에 머물러 국내 경제에 어두웠었다. 인사권자는 잇따른 인사 실패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A 국장은 행정경험이 없어 시의원 및 공무원들과 마찰을 빚은 것으로 보인다. 7월 정기 인사를 앞두고 A 국장이 결단을 내린 것 같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