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최저임금 협의가 시작됐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결정하는 올해 최저임금위원회 협의는 특히 험로가 예상된다. 무엇보다 노동계와 재계 양측 주장의 간극이 그 어느 해보다 크다. 노동계는 시간당 최저임금 1만 원 달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경영계는 최저임금 동결 주장을 펴고 있다.
노동계는 최근 2년간의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았던 만큼(2020년 2.9%, 2021년 1.5%) 문 대통령 대선 공약인 시간당 1만 원 최저임금 실현을 위해 15%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의 시간당 최저임금(8천720원)의 월 단위 환산액(187만 원)이 1인 가구 최저 생계비(209만 원)의 81% 수준에 그친다며, 물러설 수 없다고 했다. 반면, 재계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주 52시간 근무제 확대 적용, 외국인 근로자 입국 제한 등 악재가 겹겹인 지금 최저임금을 인상할 여력이 없다고 맞선다.
양측의 주장 모두 일리가 있다. 최근 들어 뜀박질하는 물가 상승을 보전하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기 위해서라도 최저임금의 적정 인상은 필요해 보인다. 문 정부 출범 이후 4년간의 최저임금 평균 인상률이 7.7%로 박근혜 정부의 평균 인상률 7.4%와 별 차이가 없다는 점도 최저임금 인상 압박 요인이다.
하지만 현재의 우리 사회와 경제적 여력은 시간당 1만 원 최저임금을 감당할 상황이라고 볼 수 없다. 특히나 코로나19 불황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이 수준의 최저임금은 감당 못 할 충격과 고통을 줄 수밖에 없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이 일자리 감축 부작용으로 이어진다는 점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사회적 취약계층을 보듬는 수단인 최저임금 상승이 청년 일자리 감소 및 고용 불안 등으로 이어지는 것을 사회적 정의라고 할 수는 없다.
지금은 노동계와 재계가 자기 입장만 챙기려고 할 상황이 아니다. 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 두 자릿수 인상을 고집해서 안 되며, 재계도 동결 같은 터무니없는 협상 카드를 내세워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 경제가 감당할 수 있고 일자리 충격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정해질 수 있도록 노동계·재계가 조금씩 양보해 사회적 대타협을 이끌어내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