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자를 사칭한 사기 전과범 김모(43·구속) 씨에게서 금품을 받은 의혹을 받는 이동훈 전 조선일보 논설위원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치는 데 도우면 자신의 의혹이 드러나지 않게 해주겠다는 여권 인사의 회유를 받았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 전 위원은 13일 오전 경찰 조사 후 "'여권, 정권의 사람이 찾아와 Y(윤 전 총장을 지칭)를 치고 우리를 도우면 없었던 일로 만들어 주겠다" "'경찰과도 조율이 됐다'는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사실이라면 매우 엄중한 문제다. 야권의 강력한 대선 주자인 윤 전 총장에 타격을 입히려는 공작정치라고 할 수밖에 없다. 철저히 수사해 사실 여부를 가려내야 한다. 여당과 경찰의 명예를 위해서는 물론이고 향후 대선에서 누가 승자가 되든 패자가 승복하고 국민이 한 치의 의심 없이 선거 결과를 인정하게 하려면 반드시 그래야 한다.
수사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 전 위원은 여권 인사의 회유에 "저는 안 하겠다, 못 하겠다고 했다" "제가 윤 전 총장 대변인으로 간 뒤 경찰은 이 사건을 부풀리고 확대했다" "피의 사실 공표가 윤 전 총장의 정치 참여 선언일인 6월 29일 시작됐다"고 했다. 상당히 구체적인 주장이다. 그만큼 확인도 쉬울 것이다. 그러나 경찰은 이 전 위원이 여권과 '공작'을 조율했다고 지목한 만큼 수사에서 물러나야 한다. 경찰은 이 전 위원의 주장에 "법에 정해진 절차대로 수사를 진행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현재로선 '주장'일 뿐이다. 수사는 검찰이 맡아야 한다.
이 전 위원도 엄청난 파문을 몰고 올 수도 있는 주장을 한 만큼 자신의 발언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런 회유를 한 여권 인사가 누군지 밝혀야 한다. 이 전 위원 자신을 위해서도 그렇게 하는 게 맞다. 회유한 사람이 누군지 이 전 위원이 먼저 공개하면 윤 전 총장을 치는 데 도우라는 회유를 거부해 확정되지 않은 피의 사실 공표의 희생양이 됐다는 그의 주장은 설득력을 얻게 된다. 이는 이 전 위원의 언론인 경력과 명예, 개인적 양심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