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료가 내년 7월부터 0.2%포인트 오른다. 월 급여 대비 1.8% 요율이 적용되는데 고용보험료만 치면 12.5%에 이르는 인상 폭이다. 고용보험료 인상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쌈짓돈인 양 고용보험기금을 펑펑 써 댄 결과 국민에게 날아든 청구서다. 거리에 실직자가 넘쳐 나던 IMF 외환위기 때에도 고용보험료는 한 번만 올랐을 뿐인데 문 정부는 출범 이후 고용보험료를 두 번이나 올렸다. 역대 어느 정부도 이러지 않았다.
정부가 고용보험료 인상을 결정한 것은 고용보험기금이 고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2017년 문 정부 출범 당시 고용보험기금은 10조 원을 웃돌았으나 올해 말에는 4조7천억 원대로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장부상으로는 고용보험기금이 남아 있지만 정부가 고용보험기금에 빌려준 돈을 빼면 사실상 3조2천억 원 마이너스 상태다.
정부는 코로나19 특수 상황 등을 원인으로 꼽지만 흰소리다. 고용보험기금 고갈 위기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전부터 정부가 고용보험기금 지출을 마구잡이로 확대한 결과다. 실업급여 지급 기간 및 지급액을 늘려 놨고 고용유지지원금도 3배 이상 올렸다. 그나마 이 같은 지출 확대는 고용보험료를 낸 사람들을 수혜 대상으로 한 것이라 명분이라도 있다. 정부는 청년고용장려금, 육아휴직지원금,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고용보험기금 본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에도 기금을 마구 동원해 기금 고갈을 부추겼다.
고용보험기금은 국민들이 낸 돈으로 정부가 임의로 써서는 안 된다. 기금이 떨어지면 국민들에게 보험료를 올려 받으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이 정부의 머릿속이 궁금해질 지경이다. 보험료 인상 시기를 내년 7월로 정해 차기 정부로 떠넘긴 것 역시 얕은 꾀로 보인다. 선심성 확대재정정책을 마구 펴 미래 세대에 빚을 잔뜩 떠넘기는 것이 이 정권의 주특기인가. 결국 국민들은 거위털 뽑히듯 알게 모르게 세금 및 공공보험료를 뜯길 수밖에 없다. 집권 세력의 재정 폭주 중단을 촉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