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을 2차까지 접종 완료하면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8월 의학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발표된 논문에서 "화이자 백신을 두 차례 접종했을 때 델타 변이를 예방하는 효과는 88%로 평가됐다"는 결과가 나왔다.
화이자 백신을 한 차례만 접종했을 때는 예방률이 36.5% 수준에 그쳤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도 1차 접종 때는 예방 효과가 30% 정도에서 2차 접종 후 67%까지 올랐다.
백신 접종 후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급감했다.
입원 및 사망 예방효과도 분석됐다.
화이자 백신을 1차 접종하면 94%, 2차 접종했을 경우 96%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1차 접종 시 71%, 2차 접종 시 92%로 집계됐다.
캐나다에서 발표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방대본은 "캐나다에서 아카이브에 게재 중인 논문을 보면 화이자 백신은 1차 접종 결과 델타 변이 예방 효과가 56%, 2차 접종 후 87%로 각각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다른 백신을 1차만 접종했을 때도 델타 변이에 대해 60∼70% 예방 효과가 있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차 접종 시 예방 효과가 67%, 모더나 백신은 72%로 각각 보고됐다.
이 연구에서도 어떤 백신이든 1차례 이상 접종했을 때 입원 및 사망 예방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것으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하다. 전파 속도가 빨라 세계 주요 국가는 물론 국내에서도 유행을 주도하는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1주간(9.12∼18) 국내에서 델타 변이에 감염된 신규 확진자는 3천135명이다. 이는 주요 변이 4종 감염자의 99.9% 수준이다. 국내 감염 사례만 놓고 보면 델타 변이의 검출률은 98.2%이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