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재형 "청와대서 대통령 측근 감사했다고 항의 전화 받았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 최재형 전 감사원장 페이스북
최재형 전 감사원장. 최재형 전 감사원장 페이스북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과거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편법 월급 지급을 지적한 감사 후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부터 항의 전화가 왔었다고 밝혔다.

최 전 원장은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을 올려 "지난 4일 국민의힘 정강정책연설에서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편법 월급 지급을 지적한 감사 후 비서실장으로부터 항의 전화가 왔었다는 이야기를 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 전 원장은 "'청와대를 감사하면서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감사하는 것은 위법하다는 주장이었다. 결국은 왜 대통령 측근을 감사했느냐는 이야기겠지요'라는 내용이었다"면서 "이에 대해 노 전 실장이 '당시 통화 내용이 모두 기록되어 있고, 대통령 직속 위원회는 청와대와 별개 조직인데 (일례로 일자리위원회는 고용노동부 소관) 직속위원회 감사 결과를 청와대 정기 감사 보고서에 포함시켜 마치 청와대의 잘못인 것처럼 발표했다. 그래서 착오가 있는 것 같아서 감사원장에게 전화해서 재발 방지를 당부한 것뿐이다. 당시 감사원장도 죄송하다며 잘못을 인정했다. 대통령 측근을 감사해 문제를 삼았다는 주장은 완벽한 허위'라는 취지로 말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일일이 답변할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 들지만 사실관계를 밝혀 둘 필요는 있을 것 같다"며 "감사 의결 후 규정에 따라 그 내용을 공개할 때까지도 편법 월급을 지급받은 사람들이 누구인지는 감사원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런데 감사 내용이 공개된 직후 언론에서 편법 월급을 지급받은 분들이 대통령의 측근들이고 그분들의 후임자들에게는 그런 편법 월급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보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최 전 원장은 "며칠 후 비서실장으로부터 전화가 왔고 저는 위 언론보도 때문에 청와대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생각에 전화를 받자마자 가벼운 마음으로 미안하게 됐다는 취지로 말을 했다"면서 "그런데 비서실장은 정색을 하면서 청와대 감사를 하면서 청와대 소속이 아닌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감사한 것은 위법하다는 취지로 흥분된 어조로 항의를 했다. 그것이 청와대의 공식적인 의견이고 국회에서도 문제 삼을 것이라는 취지로 까지 말했던 것으로 기억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저는 공식적인 의견이라면 공문으로 보내라고 하였다. 물론 그 이후에 청와대로부터 그에 대한 공문을 받거나 국회에서 위와 같은 감사 내용을 문제 삼은 일은 없었다"며 "노 전 실장은 대통령 직속 위원회가 청와대 소속이 아니라고 하면서 일례로 일자리위원회는 고용노동부 소관이라고 하는데, 일자리위원장은 대통령"이라고 노 전 실장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아마 노 전 비서실장의 주장대로 고용노동부 감사를 하면서 같은 내용을 지적했다면 왜 고용노동부를 감사하면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까지 감사했느냐, 대통령이 고용노동부 소속이냐고 항의하지 않았을까"라며 의구심을 품기도 했다.

최 전 원장은 "소위 청와대에 대한 2020년도 정기감사(감사보고서의 공식 명칭은 비서실 등 3개 기관과 4개 대통령 소속 자문 위원회에 대한 기관정기감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최종 감사 마감 회의와 이후 답변서를 받는 과정까지 감사 과정 전체를 통틀어 어느 누구도 대통령 직속 위원회가 청와대와 관련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감사가 위법하다는 이의를 한 사실이 없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편법 월급을 받은 사람들이 대통령 측근들이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기 전까지는 청와대의 어느 누구도 감사 결과에 항의하지 않았다"고 했다.

끝으로 최 전 원장은 노 전 실장을 겨냥해 "그런데도 비서실장의 감사원장에 대한 납득할 수 없는 거친 언사가 편법 월급을 받은 당사자들이 대통령 측근이라는 것과 무관하다고 할 수 있는지, 대통령 측근들에 대한 편법 월급 지급을 지적하지 않았더라도 소위 위법한 감사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감사원장에게 직접 전화하여 친절하게 한 수 가르쳐 주셨을지 노 전 실장에게 되묻고 싶다"고 뼈 있는 말을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