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강덕·김정재·김병욱 정치 지도자들 뒷북 대응 논란

'포스코 홀딩스 탈포항' 12월 알려졌는데도 한달 지나서야 움직여
한달 전과 현재 확연한 인식 차이 안타까움과 비판적 시각 집중

포항시민 250여 명이 지난 1월 28일 오전 서울 포스코 센터 앞에서 신설 포스코 지주사의 서울 입지를 규탄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병욱 국회의원, 김정재 국회의원, 이강덕 국회의원. 매일신문DB
포항시민 250여 명이 지난 1월 28일 오전 서울 포스코 센터 앞에서 신설 포스코 지주사의 서울 입지를 규탄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병욱 국회의원, 김정재 국회의원, 이강덕 국회의원. 매일신문DB

'포스코 지주사 탈포항 논란'과 관련돼 지역 정치 지도자들의 뒷북 대응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 되고 있다.

'최정우 퇴출! 포스코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책위원회'의 서명에 40만명의 포항시민이 참가했고 포항시내 곳곳이 포스코의 탈포항을 규탄하는 플래카드로 도배가 되다시피 한 것은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재 국회의원(국민의힘 포항북·국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도당위원장), 김병욱 국회의원(국민의힘 포항남울릉·포스코 지역구) 등이 나서지 않았으면 불가능했다.

하지만, 이들이 나선 이유가 포항의 미래가 걸린 사안이기 때문이라면 좀더 일찍 '시민들 앞에서' 움직였어야 했다는 일각의 안타까움과 비판적 시각이 나온다.

포스코 지주사 전환 소식이 전해진 것은 지난해 12월 초순이었다. 뒤이어 임시 이사회에서 지주회사 전환이 의결됐고 지난해 12월 22일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한 시의원이 5분 발언을 통해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 포항에 설립 ▷지주회사 설립 확정 후 포항시민과의 소통 ▷신사업 부문 포항 투자 등 3가지를 포스코에 촉구했다.

올해 1월 4일엔 포스코가 그룹 미래 신성장사업을 위한 R&D(연구개발) 컨트롤타워 '미래기술연구원'을 서울에 개원했다고 밝혔다. 그러고도 20일이 지나서야 이들의 '시민들과 함께하는 움직임'이 시작된 것이다.

지난 1월 28일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관련 안건을 결정하는 임시주총 직전인 1월 24일 이강덕 포항시장의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김정재·김병욱 의원 등이 가세하면서 '포스코 지주사와 미래기술연구원 서울 설립 반대'가 불붙기 시작했다.

이들 정치 지도자들의 노력으로 올해 대통령선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까지 '국가균형발전과 포스코의 역사성' 등과 관련해 언급하며 대선 이슈로까지 부상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하순, 그들의 인식은 현재 수준과 완전히 달랐다.

당시 매일신문의 포스코 지주사 서울 설립과 관련한 질문에 이 시장은 "향후 투자도 예정돼 있고, 정치적으로 오해의 소지를 우려한다"며 말을 아꼈다. 관련 문자 질문에 대해 김정재 국회의원 측은 "불필요한 기우에 따른 기업 발목잡기는 포항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철강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안다"고 했고, 김병욱 의원은 문자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21일 포항시청 앞에서 시민들이 포스코 지주사 포항 설치를 위한 서명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30만 명 서명을 목표로 추진 중인 서명운동은 지난 19일 36만 명을 돌파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21일 포항시청 앞에서 시민들이 포스코 지주사 포항 설치를 위한 서명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30만 명 서명을 목표로 추진 중인 서명운동은 지난 19일 36만 명을 돌파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이와 관련 포항의 정치권 한 인사는 "포항의 경우 50만명 중 10만명 정도가 포스코와 직간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정치, 경제 주요 인사들이 집중돼 있다. 지역 곳곳에 네트워크가 촘촘한 글로벌 기업 포스코를 섣불리 상대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시장은 "회장의 책임 있는 설명을 순진하게 기다렸다. 하지만 미래기술연구원의 서울 설립을 보고 미래 신사업의 포항에 대한 투자 위축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 와 닿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