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여권은 물론 국민의힘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각종 우려에도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임기 시작 전 마무리하고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는 의지를 직접 밝혔다.
'군불만 때다 결국은 현실의 벽에 가로막혀 청와대로 들어갈 것'이라는 정적(政敵)들의 비아냥과 '너무 서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내부 직언에도 '청와대 탈출'이라는 소신을 관철하겠다는 모양새다.
정치권에선 당선인이 일부 비판적 여론과 속도 조절론에 밀려 '청와대 임시 집무 후 추후 추진' 등의 우회로를 선택했다가는 자칫 이전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전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는 측면,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께 개방해 돌려드리는 측면을 고려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결정을 신속히 내리고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당선인이 기자회견에 나서기 직전까지 인수위 내부에선 반대 여론을 의식해 추진 시기를 다소 늦추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당선인은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여론의 우려가 전달됐지만 당선인이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쪽으로 결정을 내리면서 논란은 일단락 됐다"며 "결론을 더 늦췄다가는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결국 전직 대통령들과 마찬가지로 청와대에서 나오겠다는 공약을 지킬 수 없게 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윤 당선인은 "시기를 조금 더 두고 판단하는 게 어떻겠냐고 하는데 그렇게 청와대에 들어가면 저는 안 된다고 본다. 청와대에 들어가면 여러 바쁜 일 때문에 이전이 안 된다고 본다"고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나아가 윤 당선인은 '결단하지 않으면 벗어나기 어렵다',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고 생각한다' 등의 발언을 이어가며 '성급한 결정'이라는 일각의 우려를 반박했다.
이와 함께 정치권에선 당선인의 결정이 국정최고책임자의 국정 방향 제시가 아니라 논란거리가 되는 상황을 돌파해야만 새 정부 초기 정국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도 한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임기 시작과 함께 원내의석 절대다수의 거대야당을 상대로 힘겨운 국정을 펼쳐야 하는데 인수위 시절부터 당선인의 영(令)이 서지 않는 상황을 자초했다가는 후폭풍이 간단치 않을 수 있다고 보고 강공을 선택했다는 후문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국정 운영 동력이 가장 강한 시점이 당선인 시절인데 이때조차 당선인이 자신의 의중을 국정에 관철하지 못하면 그 뒤로는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집권 초기 이른바 광우병 파동으로 애를 먹었던 이명박 정권 시절의 전례도 참고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불과 두 달 전인 지난 1월에 발표했던 '광화문 시대' 공약을 반쪽 이행했다는 비판과 '국방부도 구중궁궐'이라는 반대 여론을 설득하는 작업은 과제로 남은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