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단기간 내 점령하려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자 다른 주요 도시들을 장악해 우크라이나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전술을 바꿨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정보기관의 분석을 인용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키이우 점령 대신 남부지역을 집중 공격해 해안도시 마리우폴 함락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보당국은 당초 푸틴 대통령의 목표가 러시아가 수도 키이우를 속전속결로 함락시키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축출하려 했던 것이라 분석했다.
그러나 생각보다 강력한 우크라이나군의 저지력과 국민들의 저항에 상황이 여의치 않게 되자 러시아측이 장기전에 대비해 주요도시를 포위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정부를 압박하는 방향인 '플랜B'로 전환했다는 것이다.
WSJ는 러시아가 이같은 전술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를 달성하고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 돈바스 지역을 가져가려는 것으로 미 바이든 행정부는 보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2014년 크림반도를 점령한 이후 줄곧 크림반도와 러시아를 잇는 영토 확보를 위해 분쟁지역인 돈바스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하려 했다.
미 정부의 한 관계자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영토와 중립국화에 대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를 계속 점령하면서 싸움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2차 체첸전쟁 때인 1999~2000년 당시 그로즈니를 공결할 때도 이같은 '포위 전술(siege tactisc)를 사용했다.
한동안 푸틴 대통령의 주요 도시에 대한 포위 공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우크라이나 민간인들의 피해도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푸틴 대통령의 공격 전술은 바뀌었으나 여전히 그의 목표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란 평가도 나오고 있다.
폴란드 대사를 지낸 다니엘 프리드는 뉴욕타임즈(NYT)에 "푸틴 대통령의 목표는 전혀 변하지 않았다. 단지 그의 전술이 바뀌었을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가 지금 공격을 퍼붓는 것은 우크라이나가 저항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결국 제거돼야 한다. 이게 스탈린식 숙청"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NYT는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평화협상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 예상했다.
존 허브스트 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는 "러시아가 전술을 바꿨다는 분석에는 동의하지만 푸틴 대통령이 그의 요구사항을 양보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푸틴이 협상에 응한 것은 러시아 국민에게 자신이 외교에 열려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서방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협상에서도 양측은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입 포기 문제에 대해서는 상당한 진전을 보였으나 크림반도 병합과 돈바스 공화국 인정 요구 등 우크라이나 영토와 관련된 푸틴 대통령의 초기 요구사항에 물러섬이 없어 교착상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