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오늘 저녁 청와대에서 회동하기로 했다. 역대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의 만남이 대선 이후 대부분 열흘 안에 이뤄졌던 것과 달리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만남은 19일 만에 이뤄지게 됐다. 신·구 권력 갈등이 파국으로 치달아 국민 우려가 증폭하는 상황에서 두 사람이 회동하기로 한 것은 다행이다.
지난 16일 예정됐던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만남이 무산된 적이 있던 만큼 이번 회동이 실현될지 일말의 불안감이 잔존한다. 이번 회동마저 어그러져 또다시 국민을 실망시키고, 당혹스럽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문 대통령이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윤 당선인과 만났으면 한다"고 먼저 회동 제안을 했고, 이에 윤 당선인이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제 없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하자"고 응해 만남이 정해진 만큼 두 사람이 실제로 만나 국민 걱정을 해소해야 한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코로나19 대유행, 우크라니아 사태 등 나라가 내우외환에 처해 있다. 이런 엄중한 시기에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 인사 등을 두고 다투는 것은 국가 지도자로서 나라와 국민에 대한 책무를 저버리는 것이다. 회동이 늦어진 데 대해 두 사람이 반성하는 마음을 갖고, 갈등이 촉발된 사안들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로 갈등을 풀고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에 대한 국민의 명령은 두 사람이 만나 통합과 협치의 토대를 다지라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국회 의석이 172석에 달하는 거대 야당을 상대해야 한다. 통합과 협치가 없으면 향후 5년 내내 윤 정부와 야당은 격렬하게 충돌할 수밖에 없다. 국민이 두 사람의 회동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북한 도발, 부동산 등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서로 대화하고 공유할 국정 현안이 산더미다. 대선에서 드러난 대립을 넘어 통합으로 가기 위해서는 두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다. 통합과 협치의 정신을 보여줘 국민을 안심시키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