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철수, 총리직 고사…좁혀진 후보군, 한덕수 전 총리 유력

'경제 전문가', '친 민주당 경력', '안보 현안 다룰 수 있는 안목' 등의 인선 기준 작동할 전망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 거론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5차 코로나비상대응특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5차 코로나비상대응특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새 정부 초대 내각에 참여하지 않고 국민의당을 흡수하는 국민의힘으로 복귀하겠다는 의중을 밝힘에 따라 누가 윤석열 정부 첫 국무총리를 맡느냐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수위 주변에선 가장 유력한 후보였던 안 인수위원장이 고사(固辭) 의사를 밝히면서 후보군이 좁혀졌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30일 현재 한덕수 전 국무총리,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유력 후보로 거명되고 있다.

하마평에 오른 인사들은 모두 역대 '민주당' 정부에서 요직을 지낸 인사들이다. 지역적으로는 호남, 직업별로는 경제 관료 출신이 대부분이다.

먹고 사는 문제를 가장 중시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낙점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사는 경제전문가다. 그래서 경제 관료 출신 인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고령(1949년생)임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가장 유력하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여야에서 거시경제를 다루는 그의 솜씨에 이견이 없기 때문"이라며 "경제회복을 기대하는 국민들도 새 정부 첫 총리가 살림살이를 나아지게 해주기를 바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총리와 함께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은 모두 경제 관료로 잔뼈가 굵었다.

다만 원내의석 172석을 보유한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를 피하기 위해서는 '친(親) 민주당' 인사를 등용할 수밖에 없다. 국무총리는 장관과 달리 국회의 동의를 얻지 못 하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각과 국무위원 임면권(조각권)을 가진 총리 인선이 늦어지면 새 정부의 경쾌한 출발도 어렵게 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새 정부가 국정발목잡기라는 프레임으로 여론전을 펼치겠지만 오는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민주당으로서도 총리 임명 과정을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식으로 대응할 수는 없다"며 "특히 국민들의 공분을 살 후보의 결정적인 흠결이 있을 경우 임명동의 거부 등 초강수로 지방선거전에 대비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당선인이 민주당이 반대할 수 없는 인사를 총리로 지명하는 우회전략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북 전주 출신인 한덕수 전 총리는 국민의 정부에서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참여정부에서 국무총리에 발탁됐다.

또한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과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는 김대중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법무비서관과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냈고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 정책실장을 맡았다.

이와 함께 윤 당선인이 경제는 물론 안보 현안까지 챙길 수 있는 인사를 찾고 있다는 얘기가 돌고 있어 한덕수 전 총리 지명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린다. 한 전 총리는 이명박 정부 시절 주미 대사로 활약한 바 있다. 윤 당선인이 안보정책의 핵심으로 규정하고 있는 한미동맹까지 챙길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현재까지 거론되는 인사 대부분 나이가 많아 새 정부의 국정쇄신 의지를 보여주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어 의외의 인물이 깜짝 발탁될 수도 있다. 또한 그동안 신상털기 식 국회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봤던 주요 인사들이 가족의 반대를 이유로 지명을 사양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