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 부부의 지난해 연말 기준 재산현황이 31일 공개된 가운데 김정숙 여사의 '사인간 채무'가 11억원이 신고돼 시선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는 "사저 신축을 위해 일시적으로 빌린 돈"이라고 설명했지만, 최근 김 여사의 '옷 값'을 둘러싼 공방과 맞물려 임기 말 김 여사 주위에 잡음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날 문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 고위공직자 1천978명의 정기재산 변동 신고사항을 관보에 게재했다.
문 대통령의 재산 내역은 전년 1억9천200만원이었던 채무가 이번에 16억8천100만원으로 14억8천900만원이나 늘었다.
문 대통령은 금융기관 채무 3억8천900만원, 부인 김정숙 여사의 경우 사인간 채무 11억원을 신고했다.
김 여사의 사인간 채무에 대해 청와대는 "퇴임 후 사용할 사저 신축을 위해 일시적으로 빌린 돈으로, 지금은 모두 갚았다"는 설명을 내놨다.
문 대통령은 현재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평산마을에 퇴임 후 사용할 새 사저를 건축 중이다. 퇴임 대통령을 위한 경호시설에는 국가 예산이 투입되지만 사저의 경우 자비로 충당해야 한다.
15억원에 달하는 사저 신축비용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양산시 매곡동 구(舊) 사저가 매각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돈을 잠시 빌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금융기관에서 최대한도인 3억8천900만원을 (문 대통령 명의로) 대출받고, 나머지 필요한 11억원을 사인간 채무로 충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가 돈을 빌린 사람은 이해관계자가 아니며, 이자 비용도 다 지급했다"며 "최근 매곡동 옛 사저가 매각됐다. 사인간 채무는 모두 갚았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례적으로 문 대통령의 5년간 수입과 지출 내역도 공개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임기 내 총수입은 19억8천200만원이다. 세금 3억3천500만원을 뺀 세후 총소득은 16억4천700만원"이라며 "이 가운데 13억4천500만원을 생활비 등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관저에서의 생활비 일체, 식비 등을 모두 개인 비용으로 부담했다"고 했다.
연 평균 2억5천만원을 넘는 생활비를 사용한 배경에는 그만큼 일상생활에 있어 '사비 지출'을 많이 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이런 설명 역시 '옷값'과 연결돼 해석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