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미크론 확산에…대구 대형소매점 판매 '뚝'

판매액지수 89.9 전년比 12%↓…광공업 생산은 대구의 경우 늘고 경북은 줄고

대형마트에 식품이 진열된 모습. 31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형마트에 식품이 진열된 모습. 31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2월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2015=100)는 89.9로 전년 동월 대비 11.8% 줄었다. 경북은 21.0% 감소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 등에 따른 소비심리 감소로 지난달 대구경북의 소비지표가 떨어졌다.

31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2월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2015=100)는 89.9로 전년 동월 대비 11.8% 줄었다.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평균(96.3)보다도 낮은 판매액지수다. 오미크론 확산세 영향에 따른 내수소비 감소 영향으로 분석된다. 백화점은 0.9%, 대형마트는 25.8%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신발·가방 등은 판매가 늘었지만 음식료품·화장품·의복 등은 줄었다.

지난달 경북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도 70.4로 전년 같은 달 대비 21.0% 줄었다. 화장품·음식료품·의복 등 모든 품목에서 소비가 줄면서 대형마트 판매의 경우 23.0% 감소했다.

지난달 대구 지역 광공업 생산지수(2015=100)는 95.5로 1년 전 동월 대비 5.8%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4개월 연속 광공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의료정밀광학(50.3%), 기계장비(7.0%),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22.1%) 등에서 증가했고 고무·플라스틱(-8.0%), 금속가공(-1.6%), 나무제품(-35.7%) 등에서 감소했다. 광공업 출하는 6.5% 늘었고 제조업 재고는 3.9% 증가했다.

지난달 경북 지역의 광공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4.5% 감소했다. 지난 1월 이후 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다. 자동차(10.6%), 화학제품(12.6%), 전기·가스·증기업(11.8%) 등에서 늘었지만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16.0%), 전기장비(-22.6%), 1차금속(-8.1%) 등에서 줄었다. 광공업 출하도 4.4% 감소했고 제조업 재고는 16.4% 증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